누구도 소외되지않는최신기사
-
[이수옥의 공간리질리언스②] 폭음 위에 피어난 빛... 매향리 평화기념관
침묵 위에 쌓아 올린 감응의 건축 1950년대 초, 한국전쟁의 포화가 채 가시기도 전에 경기도 화성시 매향리는 또 하나의 전장을 맞이하게 되었다. 하늘을 가르며 쏟아진 미군 전투기와 포탄은 마을의 일상을 단절시키고 매향리 전체를 사격 훈련장의 연장선으로 전환시켰다. ‘쿠니사격장’이라는 명칭은 이 지역의 옛 지명인 ‘고온리(高溫里)’를 미...-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7.04 06:00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7.04 06:00
-
[이수옥의 공간리질리언스 ①] 폐허에서 피어난 예술...삼탄아트마인
산업화 시대에 지역 경제의 중심이었던 2차 산업시설들은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기능을 상실하고 노후화되었으며, 지역 사회에 부담이 되는 존재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폐산업시설은 단순한 쇠퇴의 결과물이 아니라, 시대적 가치를 지닌 산업유산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삼척탄좌 정암광업소가 있다. 이곳은 1964년부터 운영된 국내 최대 규모의 민영 탄광으로...-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4.24 06:00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4.24 06:00
-
[현동훈의 공간언어 ②] 보이지 않는 공간, ‘티르피츠 박물관 (Tirptiz Museum)’
건축은 지어놓으면 약 50년 이상은 거뜬히 버티며, 소재와 관리 정도에 따라 100년 이상을 유지하기도 한다. 공간은 사람의 삶과 가장 밀접한 만큼 시간의 변화에 민감하며 이에 따라 지속적인 리모델링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제 용도를 잃어버려 방치된 건축물은 근대건축에서 기능적인 역할에 따라 많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리모델링 되었다. 현대에서는 지속가능성이라...-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4.09 06:00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4.09 06:00
-
[장초(张楚)의 사회기호학 ②] 외로움이라는 현대의 전염병, 우리 사회가 바꿔야 할 것들
전 미국 공중보건국장 비벡 할레거 머시(Vivek Hallegere Murthy) 박사는 외로움을 ‘현대의 전염병’이라 했고, 실제로 외로움은 수면 장애, 염증, 우울, 불안, 심지어 수명 단축과도 연결된다. 이 외로움은 단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도시화와 디지털화, 그리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사회적 단절이 극심해진 지금,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마주한 공통의...-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4.01 06:00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4.01 06:00
-
[진려의 똑똑한 미래 ③] 2025년 프리츠커 건축상 수상자 류자쿤(Liu Jiakun)... 건축은 사회적 문제 해결의 도구이다.
2025년 프리츠커 건축상(Pritzker Architecture Prize)이 중국 청두 출신의 건축가 류자쿤(Liu Jiakun)에게 수여되었다. 류자쿤은 1956년 출생으로, 충칭건축공정학원을 졸업했다. 그는 초기에는 작가로서 예술 활동을 시작했으나, 이후 건축으로 전향하여 자쿤건축설계사무소(Jiakun Architects)를 설립했다. 오늘날 건축계는 급변하는 사회적·환경적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3.14 06:06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3.14 06:06
-
[현동훈의 공간언어 ①] 공간철학이 담겨진 공동체의 공간언어 ‘판교 하우징’
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현대 주택은 사생활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밀폐형 구조로 발전해왔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이러한 공간 설계는 한편으로는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보장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 연결성을 약화시키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특히, 인구 고령화와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가족의 형태는 더욱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기존의 가족 공동체가 개인...-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3.09 07:00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3.09 07:00
-
[윤재은 칼럼] 미래도시는 ‘하이퍼 리좀 시티(Hyper Rhyzome City)’로 변화한다.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은 2045년이 되면 기술적 특이점이 도래하여 인간의 삶에 거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단순한 공상이 아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미래는 내일이 아니라 오늘 시작된다"고 말했다. 미래 사회를 위한 변화는 이미 우리 곁에 와 있는 것이다.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의 구분은 환상에 불과할지 모른다. 하지만 미래는 점차 현실로...-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3.08 06:37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3.08 06:37
-
[김동헌의 공간디코딩 ②] 디지털 기술이 바꾼 공간 소비 트렌드
공간 경험의 변화, 우리는 어떻게 공간을 소비하는가? 공간을 소비하는 방식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공간이 물리적 장소에 국한되었지만, 오늘날에는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공간이 물리적 한계를 넘어 확장되고 있다. 이제 우리는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가상 공간에서 제품을 체험하고, 전시장을 직접 찾지 않고도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예술과 소통하며, 현실과 가상이 융합된 게임을 통해 공간을 탐험한...-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2.24 06:00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2.24 06:00
-
[김동헌의 공간디코딩 ①] 가상공간의 경계가 사라지는 시대
한때 공간은 물리적 한계를 가진 개념이었다. 건축가와 디자이너는 벽과 구조물을 쌓아 공간을 만들었고, 우리는 그 안에서 생활하고 경험을 쌓았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현실과 가상이 결합된 새로운 공간 패러다임을 맞이하고 있다. 메타버스, 확장현실(XR), 디지털 트윈 등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공간의 개념 자체가 변화하고 있으며, 그 경계가 점점 흐려지고 있다.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2.15 06:00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2.15 06:00
-
[이상진의 금융읽기①] "가치있는 금융"을 넘어 "가치있는 사회"로의 여정
새로운 지평을 여는 금융의 사명 경제가 발전하면서 금융의 역할은 점차 확대되었고, 금융은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고 자본의 유동성을 증가시켰다. 하지만, 금융 위기로 금융 산업의 불공정한 관행이 드러나면서 신뢰가 크게 훼손되었다. 금융이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비판적인 목소리도 높아졌다. 이제 금융은 단순히 돈을 벌어들이는 도구를 넘어 사...-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4.10 10:40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4.10 10:40
-
[김유임 칼럼] 저출생 문제 해결의 마지막 기회: 10년의 골든타임을 잡아라 ➂
대한민국이 직면한 저출생 문제는 단순한 사회적 이슈를 넘어 국가적 위기로 다가서고 있다.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제도가 마련되어 왔지만, 여전히 출생률은 하락세를 멈추지 않고 있다. 이제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ESG 경영의 일환으로 저출생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할 때가 왔다. 저출생 문제를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사회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은,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2.07 11:40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2.07 11:40
-
[김유임 칼럼] 저출생 문제 해결의 마지막 기회: 10년의 골든타임을 잡아라 ②
대한민국 저출산의 가장 큰 이유는 젊은이들이 결혼, 출산, 육아보다 노동시장에서의 생존에 더 큰 에너지를 쓰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개인의 선택의 문제가 아닌 부모세대의 삶을 보면서 학습된 사회문제의 결과다.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사회의 균형을 재조정하고, 노동시장에서 일과 가정의 양립이 실현되도록 국...-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1.31 06:00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1.31 06:00
-
[이상호칼럼] 중소기업과 ESG경영(3) –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유감
우리나라 「중대재해처벌법」 의안에서는 이 법이 제안된 배경을 “사업주, 법인 또는 기관 등이 운영하는 사업장 등에서 발생한 중대산업재해와 공중이용시설 또는 공중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위험한 원료 및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한 중대시민재해의 경우, 사업주와 경영책임자 및 법인 등을 처벌함으로써 근로자를 포함한 종...-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1.28 09:03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1.28 09:03
-
[권오영의 ESG브랜딩] ESG, 기업 브랜딩의 새로운 패러다임
애플이 지난 9월 자사의 제품을 발표하는 이벤트 데이에 ‘Mother Nature’라는 광고를 방영했다. 상징적 존재인 ‘Mother Nature’(어머니 대자연)를 실존인물로 구현하여 수행 비서와 함께 애플을 방문하고, CEO 팀 쿡을 비롯한 담당자들에게 각 영역의 업무현황을 보고받고 내년에 또 보자며 다음 장소로 보고 받으러 가는 형식의 광고다. 이 광고는 탄소중립을 위한 기업의 다양한 노...-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3.12.06 11:32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3.12.06 11:32
-
[윤재은 칼럼] ‘바다의 경제학(Sea’s Economic)’에서 본 ‘육지의 경제학(Land’s Economic)’
인간사회에서 생존 문제는 경제 문제와 집결된다. 경제란 재화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인간의 행위로 자본주의 사회를 돌아가게 하는 힘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존은 치열한 경쟁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생존을 위한 경쟁도 공정과 균형 아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 이러한 균형이 깨지면 사회는 불안, 증오, 폭력으로 흘러가게 된다. 최근 ‘묻지마 범죄’와 ‘자살’ 등...-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3.09.14 06:10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3.09.14 06:10
-
[이수옥의 공간리질리언스②] 폭음 위에 피어난 빛... 매향리 평화기념관
침묵 위에 쌓아 올린 감응의 건축 1950년대 초, 한국전쟁의 포화가 채 가시기도 전에 경기도 화성시 매향리는 또 하나의 전장을 맞이하게 되었다. 하늘을 가르며 쏟아진 미군 전투기와 포탄은 마을의 일상을 단절시키고 매향리 전체를 사격 훈련장의 연...-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7.04 06:00
-
[이수옥의 공간리질리언스 ①] 폐허에서 피어난 예술...삼탄아트마인
산업화 시대에 지역 경제의 중심이었던 2차 산업시설들은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기능을 상실하고 노후화되었으며, 지역 사회에 부담이 되는 존재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폐산업시설은 단순한 쇠퇴의 결과물이 아니라, 시대적 가치를 지닌 산업유산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4.24 06:00
-
[현동훈의 공간언어 ②] 보이지 않는 공간, ‘티르피츠 박물관 (Tirptiz Museum)’
건축은 지어놓으면 약 50년 이상은 거뜬히 버티며, 소재와 관리 정도에 따라 100년 이상을 유지하기도 한다. 공간은 사람의 삶과 가장 밀접한 만큼 시간의 변화에 민감하며 이에 따라 지속적인 리모델링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제 용도를 잃어버려 방치된 건축물은 근대건축에서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4.09 06:00
-
[장초(张楚)의 사회기호학 ②] 외로움이라는 현대의 전염병, 우리 사회가 바꿔야 할 것들
전 미국 공중보건국장 비벡 할레거 머시(Vivek Hallegere Murthy) 박사는 외로움을 ‘현대의 전염병’이라 했고, 실제로 외로움은 수면 장애, 염증, 우울, 불안, 심지어 수명 단축과도 연결된다. 이 외로움은 단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도시화와 디지...-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4.01 06:00
-
[진려의 똑똑한 미래 ③] 2025년 프리츠커 건축상 수상자 류자쿤(Liu Jiakun)... 건축은 사회적 문제 해결의 도구이다.
2025년 프리츠커 건축상(Pritzker Architecture Prize)이 중국 청두 출신의 건축가 류자쿤(Liu Jiakun)에게 수여되었다. 류자쿤은 1956년 출생으로, 충칭건축공정학원을 졸업했다. 그는 초기에는 작가로서 예술 활동을 시작했으나, 이후 건축으로 전향하여 자쿤건축설계사무소(Jiak...-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3.14 06:06
-
[현동훈의 공간언어 ①] 공간철학이 담겨진 공동체의 공간언어 ‘판교 하우징’
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현대 주택은 사생활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밀폐형 구조로 발전해왔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이러한 공간 설계는 한편으로는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보장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 연결성을 약화시키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특히, 인구 고...-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3.09 07:00
-
[윤재은 칼럼] 미래도시는 ‘하이퍼 리좀 시티(Hyper Rhyzome City)’로 변화한다.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은 2045년이 되면 기술적 특이점이 도래하여 인간의 삶에 거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단순한 공상이 아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미래는 내일이 아니라 오늘 시작된다"고 말했다. 미래 사회를 위한 변화는 이미 우리 곁에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3.08 06:37
-
[김동헌의 공간디코딩 ②] 디지털 기술이 바꾼 공간 소비 트렌드
공간 경험의 변화, 우리는 어떻게 공간을 소비하는가? 공간을 소비하는 방식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공간이 물리적 장소에 국한되었지만, 오늘날에는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공간이 물리적 한계를 넘어 확장되고 있다. 이제 우리는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가상 공간에서 제품을 체험하고, 전시장을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2.24 06:00
-
[김동헌의 공간디코딩 ①] 가상공간의 경계가 사라지는 시대
한때 공간은 물리적 한계를 가진 개념이었다. 건축가와 디자이너는 벽과 구조물을 쌓아 공간을 만들었고, 우리는 그 안에서 생활하고 경험을 쌓았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현실과 가상이 결합된 새로운 공간 패러다임을 맞이하고 있다. 메타버스, 확장현실(XR), 디지털 트윈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2.15 06:00
-
[이상진의 금융읽기①] "가치있는 금융"을 넘어 "가치있는 사회"로의 여정
새로운 지평을 여는 금융의 사명 경제가 발전하면서 금융의 역할은 점차 확대되었고, 금융은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고 자본의 유동성을 증가시켰다. 하지만, 금융 위기로 금융 산업의 불공정한 관행이 드러나면서 신뢰가 크게 훼손되었다. 금융이 경제적 불평...-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4.10 10:40
-
[김유임 칼럼] 저출생 문제 해결의 마지막 기회: 10년의 골든타임을 잡아라 ➂
대한민국이 직면한 저출생 문제는 단순한 사회적 이슈를 넘어 국가적 위기로 다가서고 있다.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제도가 마련되어 왔지만, 여전히 출생률은 하락세를 멈추지 않고 있다. 이제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ESG 경영의 일환으로 저출생 문제 해결에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2.07 11:40
-
[김유임 칼럼] 저출생 문제 해결의 마지막 기회: 10년의 골든타임을 잡아라 ②
대한민국 저출산의 가장 큰 이유는 젊은이들이 결혼, 출산, 육아보다 노동시장에서의 생존에 더 큰 에너지를 쓰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개인의 선택의 문제가 아닌 부모세대의 삶을 보면서 학습된 사회문제의 결과다. 이 문...-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1.31 06:00
-
[이상호칼럼] 중소기업과 ESG경영(3) –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유감
우리나라 「중대재해처벌법」 의안에서는 이 법이 제안된 배경을 “사업주, 법인 또는 기관 등이 운영하는 사업장 등에서 발생한 중대산업재해와 공중이용시설 또는 공중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위험한 원료 및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하여 인명...-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1.28 09:03
-
[권오영의 ESG브랜딩] ESG, 기업 브랜딩의 새로운 패러다임
애플이 지난 9월 자사의 제품을 발표하는 이벤트 데이에 ‘Mother Nature’라는 광고를 방영했다. 상징적 존재인 ‘Mother Nature’(어머니 대자연)를 실존인물로 구현하여 수행 비서와 함께 애플을 방문하고, CEO 팀 쿡을 비롯한 담당자들에게 각 영역의 업무현황을 보고받고 내년...-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3.12.06 11:32
-
[윤재은 칼럼] ‘바다의 경제학(Sea’s Economic)’에서 본 ‘육지의 경제학(Land’s Economic)’
인간사회에서 생존 문제는 경제 문제와 집결된다. 경제란 재화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인간의 행위로 자본주의 사회를 돌아가게 하는 힘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존은 치열한 경쟁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생존을 위한 경쟁도 공정과 균형 아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3.09.14 06:10
-
[이수옥의 공간리질리언스②] 폭음 위에 피어난 빛... 매향리 평화기념관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7.04 06:00
-
[이수옥의 공간리질리언스 ①] 폐허에서 피어난 예술...삼탄아트마인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4.24 06:00
-
[현동훈의 공간언어 ②] 보이지 않는 공간, ‘티르피츠 박물관 (Tirptiz Museum)’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4.09 06:00
-
[장초(张楚)의 사회기호학 ②] 외로움이라는 현대의 전염병, 우리 사회가 바꿔야 할 것들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4.01 06:00
-
[진려의 똑똑한 미래 ③] 2025년 프리츠커 건축상 수상자 류자쿤(Liu Jiakun)... 건축은 사회적 문제 해결의 도구이다.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3.14 06:06
-
[현동훈의 공간언어 ①] 공간철학이 담겨진 공동체의 공간언어 ‘판교 하우징’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3.09 07:00
-
[윤재은 칼럼] 미래도시는 ‘하이퍼 리좀 시티(Hyper Rhyzome City)’로 변화한다.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3.08 06:37
-
[김동헌의 공간디코딩 ②] 디지털 기술이 바꾼 공간 소비 트렌드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2.24 06:00
-
[김동헌의 공간디코딩 ①] 가상공간의 경계가 사라지는 시대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5.02.15 06:00
-
[이상진의 금융읽기①] "가치있는 금융"을 넘어 "가치있는 사회"로의 여정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4.10 10:40
-
[김유임 칼럼] 저출생 문제 해결의 마지막 기회: 10년의 골든타임을 잡아라 ➂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2.07 11:40
-
[김유임 칼럼] 저출생 문제 해결의 마지막 기회: 10년의 골든타임을 잡아라 ②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1.31 06:00
-
[이상호칼럼] 중소기업과 ESG경영(3) –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유감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4.01.28 09:03
-
[권오영의 ESG브랜딩] ESG, 기업 브랜딩의 새로운 패러다임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3.12.06 11:32
-
[윤재은 칼럼] ‘바다의 경제학(Sea’s Economic)’에서 본 ‘육지의 경제학(Land’s Economic)’
- 오피니언
- 누구도 소외되지않는
2023.09.14 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