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10.9℃
    구름조금16.0℃
    맑음철원15.5℃
    구름많음동두천15.4℃
    구름조금파주13.7℃
    맑음대관령11.6℃
    구름조금춘천16.7℃
    박무백령도8.5℃
    구름많음북강릉17.7℃
    구름많음강릉16.8℃
    흐림동해13.0℃
    구름많음서울15.7℃
    구름많음인천14.1℃
    맑음원주14.6℃
    맑음울릉도11.1℃
    구름조금수원15.1℃
    맑음영월12.2℃
    맑음충주12.3℃
    맑음서산13.3℃
    구름많음울진11.7℃
    맑음청주16.3℃
    맑음대전16.1℃
    구름조금추풍령14.2℃
    맑음안동15.7℃
    구름조금상주17.2℃
    구름조금포항17.8℃
    맑음군산14.5℃
    맑음대구17.0℃
    맑음전주16.4℃
    맑음울산15.6℃
    맑음창원12.5℃
    구름조금광주15.0℃
    구름조금부산13.6℃
    구름조금통영13.1℃
    맑음목포12.5℃
    구름많음여수12.8℃
    구름조금흑산도10.7℃
    구름조금완도15.2℃
    맑음고창13.7℃
    구름많음순천10.6℃
    맑음홍성(예)15.2℃
    맑음15.4℃
    구름많음제주14.4℃
    구름많음고산13.5℃
    구름조금성산14.0℃
    구름많음서귀포15.0℃
    구름조금진주14.6℃
    구름조금강화13.9℃
    구름조금양평16.4℃
    맑음이천15.5℃
    맑음인제15.7℃
    맑음홍천14.3℃
    맑음태백12.8℃
    맑음정선군13.1℃
    맑음제천9.3℃
    구름조금보은14.4℃
    맑음천안15.7℃
    구름조금보령14.6℃
    맑음부여14.3℃
    맑음금산15.0℃
    맑음15.4℃
    구름조금부안15.3℃
    맑음임실14.6℃
    맑음정읍15.7℃
    맑음남원15.1℃
    구름조금장수13.9℃
    맑음고창군14.8℃
    구름조금영광군14.0℃
    구름조금김해시13.4℃
    맑음순창군15.2℃
    맑음북창원14.0℃
    구름조금양산시13.8℃
    구름조금보성군12.1℃
    구름많음강진군12.4℃
    구름조금장흥10.2℃
    구름많음해남13.6℃
    구름조금고흥13.8℃
    구름많음의령군14.6℃
    구름조금함양군17.0℃
    구름많음광양시14.6℃
    맑음진도군13.3℃
    맑음봉화8.5℃
    맑음영주11.1℃
    맑음문경15.3℃
    맑음청송군10.8℃
    구름조금영덕10.0℃
    구름조금의성13.0℃
    구름조금구미14.4℃
    구름조금영천17.5℃
    구름조금경주시15.6℃
    구름조금거창15.9℃
    구름조금합천16.0℃
    맑음밀양14.8℃
    구름조금산청14.1℃
    구름조금거제14.0℃
    구름많음남해16.3℃
    구름조금14.1℃
  • 최종편집 2025-04-07(월)
 

지구상에 사는 동물 중에 36%가 인간이고,

야생동물은 단 4% 미만인데,

그 두 개를 합친 숫자보다 많은 60%의 동물을

단지 인간이 먹기 위해 가축으로 사육하고 있다니...”

  

1내가 1주일동안 쓰는 쓰레기양1.Days of Garbage.미국 사진작가 그렉 시걸(Gregg Segal).jpg
▲ 1주일 동안 쓰는 쓰레기양. Days of Garbage. [출처=미국 사진작가 그렉 시걸(Gregg Segal)]

 

쏟아져 나오는 일회용품, 플라스틱 쓰레기, 자동차 오염과 세계의 바다를 오가는 대형 선박들에서 대책 없이 뿜어대는 매연들, 그리고 석탄 발전소를 비롯한 대규모 공장들.

 

산업혁명 이후 우리는 피하려야 피할 수 없는 골든 타임에 이미 진입해 버린 지 오래다. 지구 기온 마지노선인 1.5도를 이미 지나 버렸다. 언제까지 우리는 눈 막고 귀 막고 모른 척 지낼 것인가?

 

50도가 넘어가는 극한의 기온, 어떻게 대처해 볼 도리가 없이 밀려오는 허리케인, 쓰나미, 물 폭탄, 뜨거워진 지구가 더 이상 견디지 못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초대형 산불지구상에서 이렇게 자신이 사는 터전을 철저하게 망치고, 다른 동물의 삶까지 망쳐버리는 동물은 일찍이 없었다. 어떻게 지구상에 사는 동물 중에 36%가 인간이고야생동물은 단 4% 미만인데그 두 개를 합친 숫자보다 많은 60%의 동물을 단지 인간이 먹기 위해 가축으로 사육하고 있는가!

 

도대체 어떻게 지구의 반이 훨씬 넘는 동물들이 인간의 먹잇감으로 키워지고 있을까? 지금 이 시각에도 그 동물들이 얼마나 이 지구의 들판을 초토화로 만들어 숨막히게 하고 있는가? 이 땅 위에는 인간에 의해 이런 살풍경(殺風景)이 펼쳐지고 있다니.

 

어떻게 우리가 만물의 영장일 수 있을까?”

 

 

2박쥐, 죽음의 음식.게티.jpg
▲ 동토에 잠들어 있는 박테리아, 심해에 잠들어 있는 메탄을 인간이 깨우면 안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19뿐만 아니라 새로 창궐하는 모든 전염병의 75%, 이미 알려진 전염병의 60%가 동물에서 유래했다."며 "앞으로 도래할 미지의 질병 X도 인수 공통감염병일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초토화 전쟁, 잘못된 지적능력들이 그 국가와 개인까지 망쳐버리는 그런 현장을 우리는 지금도 지구 곳곳에서 볼 수 있다.

 

무뇌아를 낳고 보니 산모는

몸 안에 공장지대가 들어선 느낌이다.

젖을 짜면 흘러내리는 허연 폐수와

아이 배꼽에 매달린 비닐 끈들.

저 굴뚝들과 나는 간통한 게 분명해!

자궁 속에 고무 인형 키워온 듯

무뇌아를 낳고 산모는

머릿속에 뇌가 있는지 의심스러워

정수리 털들을 하루 종일 뽑아댄다.

 

-‘공장지대’, 최승호

 


 

3재생에너지. pixabay.jpg
▲ 재생에너지 [사진=pixabay]

 

쏟아져 나오는 수많은 온실가스 중에서 그 배출량을 가장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분야 중의 하나가 바로 발전 부문이다. 화석연료에 대체하면서 전혀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태양광이나 풍력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발전이 이미 대안으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재생에너지 기술은 이미 충분히 검증되었고 그 효율성까지 향상되고 있으며, 경제성 역시 대규모 확산에 충분할 정도로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2020년에 새롭게 설치된 전력생산 설비의 80% 이상이 재생에너지 설비였다. 2019년 미국에서는 130년 만에 처음으로 연간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석탄발전량을 추월하는 고무적인 결과를 만들어 내기도 했다.

 

2021년 상반기 선진국 모임인 OECD 국가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평균 33%였는데, ‘덴마크는 77%, 캐나다는 71%, 독일은 43%, 프랑스 25%, 일본 22%’를 기록했다. 


 

4화석연료앞에 재생에너지 날개, 터빈이 더없이 초라하다.jpg
▲ 화석연료 앞에 재생에너지 터빈이 더없이 초라하다. [사진=pixabay]

 

전 세계 RE100 가입 현황을 202227일 기준으로 보면 글로벌 기업의 숫자는 349개다. 참고로우리나라는 2020년에 약 552 테라와트시(TWh)의 전력을 사용했는데2021년 재생에너지 전력 소비 실적을 보고한 RE100 회원사(215)들은

전체 전력의 무려, 45%를 재생에너지 전기로 조달했다.

 

‘OECD 국가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30%를 넘고, OECD 꼴찌인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아직 7%가 되지 않는다. 그것에 비교하면 RE100 회원사들의 재생에너지 전환 속도는 가히 지구가 상쾌해져 가고 있는 착각마저 일으킨다여기에 종종 RE100이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전기 사용 100%를 목표로 하는 캠페인이라고 소개되는 것을 보는데, 이는 잘못된 설명이다2050년은 RE100에 가입하기 위한 최소 조건이기 때문이다.

 

 

5석탄화력 발전소가 배출하고 있는보이지 않는 쓰레기[사진=Pxhere] (2).jpg
▲ 석탄화력 발전소가 배출하고 있는보이지 않는 쓰레기[사진=Pxhere]

  

하지만 늦게나마 다행스럽게도 한국에서 작은 변화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2020년 말 6개의 SK계열사인 SKC, SK실트론, SK머티리얼즈, SK, SK텔레콤, SK하이닉스가 국내 기업 최초로 RE100에 가입했다. 그 후 아모레퍼시픽, LG에너지솔루션, 한국수자원공사, KB금융그룹, 고려아연, 미래에셋증권, SK아이이테크놀로지, 롯데칠성음료 등 8개가 가입하면서 한국의 RE100 회원사는 14개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아직도 석탄 발전소 건설을 후진국들에 수출하면서, 세계적으로 기후 악당국가로 악명이 높은 대한민국에는 다행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RE100 사무국도 일본과 한국 기업들이 RE100에 참여하기 시작한 것을 중요한 변화로 보고 있다.

RE100에 가입하는 글로벌 기업의 숫자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우리나라 기업도 가입하기 시작한 것은 시급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주 목적이지만, 여기에는 그만큼 중요한 또 다른 이유도 존재한다.

 

글로벌 기후위기 시대에 기업이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으면글로벌 수출 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덧붙이는 글 I 자재 

 

자재는 자유자재(在)의 자재이다. “환경이 아프면, 내 몸도 아프다”라는 마음으로 30여 년 가까이 일체의 세제와 퐁퐁를 쓰지 않고, 일회용품과 비닐, 비누나 치약 등도 가능한 쓰지 않는다. 물수건이나 휴지 대신 손수건을 쓰고 겨울에는 내복을 입고 실내 온도를 낮춘다. 자가용은 없으며 가까운 곳은 자전거로 먼 곳은 대중교통으로 다니면서, 나의 화석 발자국을 줄이려고 노력한다. 홍익대학교를 비롯한 몇 개의 대학에서 강의를 했으며, 한강 1,300리, 섬진강 530리, 한탄강, 금강, 임진강과 폐사지 등을 걸었으며, 우리나라 해안선만 따라 자전거로 80일 동안 5830km를 순례했다. 다시 세계가 궁금해져 5년 동안 ‘대상(隊商)들의 꿈의 도로’인 실크로드를 따라, 세계오지 배낭순례를 했다. 2000년 전주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으며, 해양 문학상, 전국 문화원 연합회 논문공모 우수상, 시흥 문학상 등 몇 개의 상을 받았다. 2020년 인사동 마루아트센터 아지트갤러리‘국제 칼렌다 사진전’에 참여하였다. 2016년 ‘평화, 환경, 휴머니즘 국제 영상제’에 <초인종 속 딱새의 순산, 그 50일의 기록>이라는 작품으로, '환경부 장관 대상'을 수상했다. 평생 다양한 기관에서 무료봉사를 해오고 있으며, 연극에도 관심이 많아 십여 편의 작품에 출연했다. 또, 노원, 영등포 50+센터 등에서 2년여 전부터 일주일에 한 번씩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내 마음에 안식처 서울역사여행’등을 진행하고 있다. 

BEST 뉴스

전체댓글 1

  • 27860
임인출

오 굿입니다. ~*

댓글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자재自在의 환경 이야기③] 오염된 우리의 도시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1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URL
기사입력 : 2024.02.29 08:18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