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04(금)

오피니언
Home >  오피니언  >  자유기고

실시간뉴스
  • [코이오스의 뷰 ④] 아미타이 파이비쉬(Amitay Faibish)의 3월 독일 ESG 동향 분석
    환경 이니셔티브 및 정책 2025년 3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독일에서는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ESG) 관련 중요한 발전이 있었습니다. 독일 정부는 기후 변화 대응에 대한 헌신을 재확인하며, 신설된 5,000억 유로 규모의 인프라 및 국방 기금 중 1,000억 유로를 기후 행동 및 에너지 전환 프로젝트에 할당했습니다(ESG News, 2025). 이 투자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 지속 가능한 인프라 구축 및 2045년까지 기후 중립 목표 달성을 지원합니다. 독일의 재생 가능 에너지 부문도 계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독일 연방 네트워크 기관은 2024년 재생 가능 에너지 설치 용량이 12% 증가하여 총 1,900GW에 도달했다고 보고했습니다(Germany Trade & Invest, 2025).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이 주도한 이 성장 덕분에 독일 전력의 약 60%가 재생 가능 에너지원에서 공급되었으며, 석탄 의존도가 감소했습니다. 독일 정부는 2030년까지 전력의 80%를 재생 가능 에너지원에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독일 정부는 환경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및 제조업 부문에 대한 배출가스 규제를 강화하여 기업들이 친환경 기술을 도입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발전과 시위 독일 민간 부문은 정부 지출 증가 덕분에 10개월 만에 가장 빠른 성장을 기록했습니다(Bloomberg, 2025). 소비자 수요 증가, 비즈니스 신뢰 회복 및 고용 시장 성장 등이 이 같은 경제적 활력을 이끄는 요인입니다. 특히 서비스 부문에서 두드러진 성장이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사회적 긴장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최근 독일-폴란드 국경에서는 난민 및 망명 신청자의 폴란드 송환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졌습니다(Notes from Poland, 2025). 여러 인권 단체는 독일의 강제 송환 정책이 국가의 인도주의적 전통을 훼손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러한 시위는 EU 난민 정책에 대한 광범위한 우려와도 연결됩니다. 한편, 베를린과 함부르크에서는 생활비 상승에 항의하는 시위가 있었습니다. 시위대는 특히 주택 및 에너지 비용과 관련하여 정부의 개입을 촉구했습니다. 최근 정부가 일부 전기 요금 보조금을 삭감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 많은 시민이 우려를 표명했으며, 저소득층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장기적인 경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중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방어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거버넌스 및 정치 동향 이번 주 독일 정치에서는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극우 정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 의회 의석을 두 배로 늘리며 입법 과정에서 더 강한 역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Reuters, 2025). 한편, 독일 연방의회(분데스타크)는 헌법 개정을 승인하여 국방 예산 4,000억 유로 및 인프라·녹색 에너지 투자에 5,000억 유로를 추가 지출하는 계획을 확정했습니다(Wikipedia, 2025). 이는 프리드리히 메르츠(Friedrich Merz) 총리의 안보 중시 정책을 반영하며, 독일의 전통적으로 신중했던 국방 지출 접근 방식에서 완전히 벗어난 행보를 의미합니다. 또한, 녹색당(Green Party)에서는 내부 에너지 정책 및 연립 정부 내 갈등으로 인해 지도부 개편이 이루어졌습니다. 분석가들은 이 변화가 독일의 기후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일부 당원은 화석 연료 의존도를 더욱 신속히 줄일 것을 주장하는 반면, 다른 당원들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경제적 실효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기업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독일 기업들에 대한 거버넌스 기준을 강화하려는 압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규제 당국은 경영진 보수의 투명성 강화, 이사회 다양성 확대, 주주 권한 보호 등의 개선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ESG 원칙과 기업 운영의 윤리적 기준을 보다 밀접하게 정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외교 정책 동향 독일 외교 정책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 안보 및 글로벌 무역 관계에서 중요한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는 러시아의 군사 활동 증가에 대응하여 유럽 방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독일의 외교 노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독일은 우크라이나에 추가적으로 100억 유로의 군사 원조를 제공하기로 했으며, 첨단 무기 및 물류 지원을 포함한 새로운 협정을 체결했습니다(BBC, 2025).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는 독일이 러시아산 가스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노르웨이 및 캐나다와 새로운 액화천연가스(LNG) 및 그린 수소 공급 협정을 발표했습니다(Financial Times, 2025). 외교적으로는 독일 외무장관 안날레나 베어복(Annalena Baerbock)이 중국 관리들과 회담을 열어 무역 불균형 및 인권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독일은 EU 최대 경제국으로서 중국의 기술 수입 규제와 관련하여 보다 통합된 EU 차원의 대응을 요구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AI) 분야에서의 규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협상의 결과는 향후 EU-중국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 ESG 실천 최근 독일 기업들 사이에서 "그린허싱(Greenhushing)"이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The Times, 2025). 이는 기업들이 ESG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면서도 정치적 압력을 우려해 이를 공개적으로 홍보하지 않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많은 독일 기업들이 탄소 배출 감축을 약속하고 있지만, 투자자 및 규제 당국의 반발을 우려해 공개적인 선언을 꺼리는 모습입니다. 또한, 독일 지속가능금융자문위원회(Sustainable Finance Beirat)는 중소기업(SME)들의 지속가능성 보고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IPE, 2025). 이 위원회는 과도한 보고 의무가 혁신을 저해하고 규제 준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핵심 성과 지표(KPI) 중심의 보고 체계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편, 독일 기업들은 투자자들로부터 ESG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진전을 보이라는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주주들은 기업의 지속 가능성 전략을 더욱 면밀히 검토하며, 명확한 기준과 측정 가능한 성과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독일 기업들은 ESG 요소를 핵심 비즈니스 전략에 더욱 적극적으로 통합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본 기사는 ESG코리아뉴스 독일 기자 Amitay Faibish의 '3월 독일 ESG 동향분석' 으로 원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Coios' View ④] Amitay Faibish's Analysis of German ESG Trends in March by Amitay Faibish Environmental Initiatives and Policies: In the week spanning March 24 to March 30, 2025, Germany saw developments in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domains. Germany has reaffirmed its dedication to combating climate change by allocating €100 billion from a newly established €500 billion infrastructure and defense fund towards climate action and energy transition projects (ESG News, 2025). This investment backs emissions reduction, sustainable infrastructure, and the goal of climate neutrality by 2045. Germany's renewable energy sector continues to expand. The Federal Network Agency reported a 12% increase in installed renewable energy capacity in 2024, reaching almost 190 GW (Germany Trade & Invest, 2025). This jump, led by solar and wind energy, resulted in renewable sources supplying almost 60% of Germany’s electricity, reducing coal dependency. The German government has set a target of generating 80% of its electricity from renewable sources by 2030. In addition to infrastructure investments, Germany is toughening up its environmental regulations.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stricter emissions targets for the automotiv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influencing companies to use greener technologies. Social Developments and Protests: Germany’s private sector experienced its fastest growth in ten months, largely due to increased government spending (Bloomberg, 2025). This trend has been caused by strong consumer demand, improved business confidence, and a growing job market. The service sector especially has seen substantial growth. However, social tensions continue to exist, likely caused by the political shift in the country, as hundreds protested at the Polish-German border against the deportation of migrants and asylum seekers to Poland (Notes from Poland, 2025). Many human rights organizations have criticised Germany’s deportation policies, arguing that they undermine the nation’s historical commitment to humanitarian principles. The protests also relate to the broader concerns about the EU’s asylum system. This week also saw demonstrations in Berlin and Hamburg against rising living costs, which many argue, connects to the immigration policies of the country. Protesters demanded government action on inflation, particularly the cost of housing and energy. The recent decision to cut some subsidies on electricity prices has raised public concern, with some arguing that lower-income households will be hurt the most from the economic shift. The government has defended its approach, stating that prudence is necessary to maintain long-term economic stability. Governance and Political Landscape: German politics saw major changes this week. The far-right Alternative for Germany (AfD) party doubled its parliamentary seats, demanding a stronger role in legislative processes (Reuters, 2025). Meanwhile, the Bundestag approved a constitutional amendment allowing for a major increase in spending—€400 billion on defense and €500 billion on infrastructure and green energy, reflecting Chancellor Friedrich Merz’s focus on security (Wikipedia, 2025). This deviation shows the complete departure from Germany’s traditionally careful approach to military spending. Another political development this week involved changes in the leadership of the Green Party. Following internal disputes over energy policies and coalition disagreements, the party announced a shift in its leadership structure. Analysts believe this move could impact Germany’s climate agenda, with some members advocating for a more aggressive stance on reducing fossil fuel reliance, while others push for economic effectiveness to avoid further inflationary pressure. Additionally, there is growing pressure on German corporations to enhance corporate governance standards. Regulators are suggesting greater transparency in executive salaries, board diversity, and shareholder rights. These measures are part of wider efforts to align corporate governance practices with ESG principles, ensuring that businesses operate ethically. Foreign Policy Developments: Germany’s foreign policy has experienced changes this week, specifically in its approach to European security and global trade relations. Chancellor Friedrich Merz has intensified Germany’s diplomatic efforts to strengthen European defense capabilities due to growing concerns over Russian military activity near NATO borders. In a new agreement, Germany pledged to increase its military aid to Ukraine by an additional €10 billion, providing advanced weaponry and logistical support (BBC, 2025). Beyond defense, Germany is focusing on diversifying its energy imports to reduce reliance on Russian gas. The government announced new trade agreements with Norway and Canada for liquefied natural gas (LNG) and green hydrogen (Financial Times, 2025). On the diplomatic front, Foreign Minister Annalena Baerbock hosted talks with Chinese officials to address concerns over trade imbalances and human rights issues. Germany, as the EU’s largest economy, is advocating for a more unified stance on regulating Chinese technology imports, particularly in sector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he outcome of these discussions could shape the future of EU-China relations. Corporate ESG Practices: A growing corporate trend known as "greenhushing" has emerged, where companies engage in ESG initiatives but avoid publicising them due to political pressures (The Times, 2025). While many German companies have pledged to reduce their carbon footprints, some are sceptical of making public commitments, fearing backlash from investors and regulators. Additionally, Germany’s Sustainable Finance Beirat has advocated for revisions to sustainability reporting requirements, supporting reduced data burdens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PE, 2025). The advisory group argues that excessive reporting obligations can suppress innovation and increase compliance costs, especially for smaller businesses. To address these concerns,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reporting frameworks that focus on key performance indicators rather than broad data disclosures. Corporate leaders are also facing mounting pressure from investors to demonstrate tangible progress on ESG goals. Shareholders are increasingly examining companies' sustainability strategies, demanding clearer standards and measurable outcomes. As a result, German firms are intensifying efforts to integrate ESG considerations into their core business strategies. References Bloomberg. (2025, March 24). Germany's private sector expands at fastest pace in 10 months.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3-24/germany-private-sector-expands-at-fastest-pace-in-10-months?srnd=homepage-europe Bundesregierung. (2025). Military support for Ukraine.https://www.bundesregierung.de/breg-en/news/military-support-ukraine-2054992 ESG News. (2025). Germany to allocate €100B from €500B fund to climate, energy transition.https://esgnews.com/germany-to-allocate-e100b-from-e500b-fund-to-climate-energy-transition/ Germany Trade & Invest. (2025). Green energy news – March 2025.https://www.gtai.de/en/invest/industries/energy/green-energy-news-march-2025-1882302 IPE. (2025). Germany’s Sustainable Finance Beirat pushes to amend SFDR, CSRD.https://www.ipe.com/news/germanys-sustainable-finance-beirat-pushes-to-amend-sfdr-csrd/10128813.article Natural Resources Canada. (2025). Joint declaration of int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Canada and the Governmen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establishing the Canada-Germany Hydrogen Alliance.https://natural-resources.canada.ca/climate-change/joint-declaration-intent-between-government-canada-government-federal-republic-germany-establishing-canada-germany-hydrogen-alliance Notes from Poland. (2025, March 24). Hundreds protest on border against German migrant deportations to Poland.https://notesfrompoland.com/2025/03/24/hundreds-protest-on-border-against-german-migrant-deportations-to-poland/ Reuters. (2025, March 24). Emboldened, unrepentant: Germany’s far-right poised for expanded parliamentary role. https://www.reuters.com/world/europe/emboldened-unrepentant-germanys-far-right-poised-expanded-parliamentary-role-2025-03-24/ Reuters. (2025, March 24). Germany says UK lifts import ban imposed after German foot-and-mouth case. https://www.reuters.com/world/uk/germany-says-uk-lifts-import-ban-imposed-after-german-foot-and-mouth-case-2025-03-24/ The Times. (2025). The rise of greenhushing: Embrace ESG but don’t talk about it.https://www.thetimes.co.uk/article/the-rise-of-greenhushing-embrace-esg-but-dont-talk-about-it-txv2lwpp2 Wikipedia. (2025). Friedrich Merz.https://en.wikipedia.org/wiki/Friedrich_Merz Energy News Pro. (2025). Norway nationalizes its pipeline network to secure energy exports.https://energynews.pro/en/norway-nationalizes-its-pipeline-network-to-secure-energy-exports/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4-04
  • [코이오스의 뷰 ③] 영농형 태양광 발전의 접근 방식...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
    2022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우리 삶에서 공기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라고 선언했다 (WHO, 2022). 이 선언문은 주변 및 가정의 대기 오염으로 인한 매년 670만 명의 조기 사망자가 발생의 심각성을 포함하고 있기도 하다 (WHO, 2022). 오늘날 인류에 대한 명확한 환경의 요구는 단순히 이 위기를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후 변화를 촉발하는 만연한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는 가운데 미국의 한 주 캘리포니아는 정책을 발표했다.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캘리포니아는 온실가스 배출량 85%와 석유 사용 94% 줄일 것이다”라고 약속했다 (‌Governor Gavin Newsom, 2022). 이것은 단순한 정책이 아니다. 공기를 정화하고, 공동체를 보호하며, 더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패러다임으로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약속이다. 태양전지판의 원리 및 작동 다양한 재생 에너지 선택지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기술은 태양광이다. 태양광 에너지는 청정 에너지원으로서 항상 풍부한 햇빛을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또한 전통적인 화석연료에서 나오는 배출물로 부터 자유롭다. 그 핵심에는 태양 전지 내의 광전 효과에 있다. 태양 전지는 패널이 햇빛에 닿으면 생성되며, 전자를 방출하여 전기를 만들어낸다. 이 섬세한 전자들은 연결되어 패널을 형성하며, 햇빛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전력 흐름으로 전환한다 (National Grid, 2023). 영농형 태양광: 태양광과 농지 이러한 태양전지판은 광범위한 설치 공간을 필요로하며 그 공간을 어떻게 수용 할 것인지가 문제이다. 답은 충분한 공간과 풍부한 햇빛이 있고 에너지 비용 절감이 필요한 광활한 농지에 달려있다. 농부들은 태양 에너지의 경제적 잠제력을 보기 시작했다. 태양광 패널의 초기 설치비용은 막대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한 비용 절감을 약속한다. 만약 한 달의 에너지 비용이 150달러로 한화 약 23만원이면 30년 동안 65,000달러 한화 약 9,600만 원의 전기 요금을 상쇄할 수 있다 ‌(Walker, E., & Langone, 2023). 농업과 태양광 기술의 융합은 영농형 태양광 발전이라는 개념을 탄생시켰다. 농지 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사람들은 태양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토지의 농업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식물들은 각기 다른 양의 광합성을 필요로 하며, 많은 식물은 부분적인 그림자가 있음에도 번성할 수 있고 패널에서 수확한 남은 빛으로 전기로 바꿔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쌀은 70%의 햇빛으로도 자랄 수 있으며 나머지는 에너지 생산에 할당할 수 있다 (N-Sci Technologies, 2019). 영농형 태양광의 긍정적인 부분 경제적 이점은 정점에 달한다. 100 에이커, 약 40만 제곱미터 규모의 농장에서 태양광 에너지와 농업에 대한 별도의 할당은 각각 100%의 수익을 창출한다. 그러나 이 두 가지를 같은 땅에 통합하면 생산성은 단순히 합산되는 것이 아니다. 각각 80%, 각 부분의 합인 160%를 초과하는 총 수확량을 제공한다 (Ayers, 2022). 농부들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잉여 전기를 생산하고 잠재적으로 판매함으로써 이익을 얻는다. 게다가 태양광 패널은 농부들에게 가장 큰 운영 비용 중 하나인 전기를 제공한다. 채소 냉각기부터 작물 처리기까지 모든 것에 전력을 공급하고 패널로부터 공급된 전기는 농업 경제에 한 획을 그을 수 있을 것이다. 경제적인 이득을 넘어서 영농형 태양광은 작물 품질까지 개선한다. 전통적인 지상 설치 패널과 달리, 영농형 패널은 그늘을 최소화하면서 30% 미만의 충분한 햇빛 투과율을 보장한다 (Stawarz, 2024). 패널의 상승된 구조물은 작물에게 유익한 그늘을 제공하며, 특정 작물의 경우 온실 효과를 모방하여 성장 조건을 향상시킨다. 태양광 패널의 그늘은 토양에서 물이 증발하는 것을 줄여 가뭄을 줄이고 물 절약에 기여한다. 보호 장벽 역할을 하는 패널은 과도한 햇빛, 서리, 강풍 등 극한 날씨로부터 보호하여 변동성이 큰 기후로부터 작물의 저항성을 높인다 (Ficazzola, 2018). 영농형 태양광의 부정적인 부분 영농형 태양광의 장점에 집중하고 있지만 관련된 문제들은 여전히 남아 있다.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도입하면 식물과 영양이 풍부한 토지에 햇빛 공급량이 줄어들어 농작물 수확량이 감소할 수 있다. 21세기에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되는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무시할 수 없다 (Ritchie, 2023). 자세한 계획 없이 영농형 태양광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면 식량 공급에 큰 영향을 미쳐 이미 전 세계 수백만 명이 직면한 심각한 식량부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농업은 이미 기후 변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캘리포니아 식품 농업부는 관개 농지가 10% 감소할 때마다 752,000에이커가 줄어든다고 보고했다. 2022년에는 쌀 재배가 절반으로 줄었다 (Keavy, 2022). 우리는 지금 줄어드는 농업 환경의 벼랑 끝에 서 있다. 그럴수록 식량과 에너지 생산을 위한 토지 간의 균형은 점점 더 불안해지고 있다. 또한 농작물 수확량 감소를 고려하여 태양광 발전의 효율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태양 에너지가 에너지 수요를 보완할 뿐만 아니라 넘어서서 화석 연료를 완전히 대체해 버리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더 복잡하다. 태양광 효율은 기상 조건, 먹구름, 변동하는 온도에 취약하다. 연구에 따르면 흐린 날에는 태양광 패널이 용량의 10~30%만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cazzola, 2018). 게다가 최적 온도 이상의 모든 온도에서는 효율이 0.3%에서 0.5% 감소하여 태양광 발전의 현실을 깨닫게 한다 (Palmetto, 2023). 태양 에너지는 다른 재생 가능 에너지원보다 매개변수가 적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생산된 순 에너지가 우리의 필요에 미치지 못하면 태양열에 대한 완전한 의존은 여전히 불가능하다. 태양광 발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리적 현실과 맞서야 하고 완벽한 조건을 찾는것은 극히 드물다. 영농형 태양광의 주의할 점 영농형 태양광에 대한 쟁점은 농부들의 경제적, 환경적 이익과 식량 생산의 잠재력 여파 및 태양광 기술의 효율성이다.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식량 보존을 위협해서는 안된다. 대체 재생 에너지원은 있지만, 농업의 근본적인 역할을 대체할 수는 없다. 태양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농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경제적으로나 환경적으로나 농부들에게 매력적이다. 이러한 이익은 명백하지만, 식량 보존도 중요하다. 농업은 다가오는 식량 위기를 대비하기 위해 비옥한 토지를 농업에 우선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기로에 서 있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가 97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농촌 공간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이 문제의 시급성은 더욱더 강조된다 (Ritchie, 2023). 균형있는 접근 이제 지혜로운 선택이 나타나야 할 때이다. 농부와 목장주는 미래 식량 확보의 열쇠를 쥐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간단한 결정이 아니다. 각 농업인은 태양 에너지의 즉각적인 재정적 이익을 수용하거나 계속 증가하는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 농업의 중요성을 지켜야 하는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다. 농부들과 정책 입안자들은 이 결정을 깊이 고민해야 한다. 우리는 에너지와 식량 보존의 필요성을 조합시키는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 우리가 영농형 태양 발전을 받아들인다면 우리 세대에 필요한 식량 보전에 대해 책임을 지고 해결해야 한다. * 본 기사는 ESG코리아뉴스 미국 학생기자 Seungeun Lee(Julia Lee)의 영문 오피니언으로 원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Approaches to Agricultural Solar Power: Positives and Negatives By Seungeun Lee(Julia Lee) In the year 2022, a sobering proclamation was issu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hat “Nothing is more essential to life than air (WHO, 2022). Yet, it is this very essence of life that is under siege by ambient and household air pollution, culminating 6.7 million premature deaths annually (WHO, 2022). Today, the clarion call for humanity is not just to acknowledge this crisis but to actively engage in resolving the pervasive issue of pollution which precipitates climate change. As the climate crisis intensifies, particularly in states like California in the United States, leadership is emerging. The Governor’s office has announced that “California will slash greenhouse gas emissions by 85% and cut gas consumption by 94% by 2045 (‌Governor Gavin Newsom, 2022). This is not merely a policy update; this is a commitment to purifying our air, protecting our communities, and hastening the transition to a cleaner, more sustainable energy paradigm. Solar Panel Operations Among various renewable energy options, solar photovoltaic technology shines with promise. This clean energy source, tapping into the daily bounty of sun, offers a sustainable solution. It is free from the emissions that plague traditional fossil fuels. At its core, the technology relies on the photoelectric effect within solar cells. Solar cells are created when the panels are struck by sunlight, and generate electricity by releasing electrons. These delicate cells are intricately linked to form robust panels, collectively harnessing and converting sunlight into a stable flow of electric power (National Grid, 2023). Agrivoltaics: Solar Panels With Farmland This has transitioned into the question, how do people accommodate the expansive footprint required by solar panels? The answer has now fallen on the vast stretches of farmland, where sufficient space, abundant sunlight, and the imperative to reduce energy costs converge. Farmers are beginning to see the untapped economic potential of solar energy.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though initially capital intensive, promises substantial saving over time. Imagine offsetting a monthly electricity bill of 150 dollars with a cumulative saving of 65,000 dollars over three decades ‌(Walker, E., & Langone, 2023). This convergence of agriculture and photovoltaic technology has given rise to the concept of agrivoltaics. By integrating solar panels above the farmland, people can harness the sun for energy, but also can maintain the land’s agricultural productivity simultaneously. Each plant species has its unique photosynthetic needs, yet many can flourish even with partial shading, turning excess light from solar panels into valuable electricity. For instance, rice fields can thrive with 70% sunlight, allocating the remainder to energy production (N-Sci Technologies, 2019). Bright Approach To Agrivotlaics The economic benefits are indeed striking. On a hypothetical 100-acre farm, separate allocations for solar energy and agriculture yield a 100% return for each. Yet, when these two are integrated on the same land, the productivity does not merely add up; it multiplies, offering a combined yield that exceeds the sum of its parts which is 160%, 80%for each part (Ayers, 2022). Farmers gain not just by growing crops, but also by generating and potentially selling surplus electricity. Moreover, solar panels could free farmers from one of their largest operational expenses, electricity. Powering everything from vegetable coolers to crop treatments, free electricity from solar panels could revolutionize farm economics. Beyond the economic, agrivoltaics systems can also bolster crop quality. Unlike traditional ground-mounted panels, agrivoltaics installations minimize shading while ensuring adequate sunlight penetration less than 30% (Stawarz, 2024). Elevated structures provide beneficial shade, which for certain crops can simulate a greenhouse effect, enhancing growth conditions. Shading from solar panels can also contribute to water conservation, mitigating drought impact and reducing evaporation from the soil. Acting as a protective barrier, these panels guard against extreme weather, from excessive sunlight to frost and strong winds, potentially enhancing crop resilience in volatile climates (Ficazzola, 2018). Dim Approach to Agirvoltaics Yet, as the virtues of agrivotlaics are extolled, the associated challenges are expected. The introduction of solar panels on farmland reduces the light available to plants and nutrient rich land, potentially decreasing crop yields. With the growing population that is projected to peak this century, the escalating demand for food cannot be ignored (Ritchie, 2023). Continuous expansion of agrivoltaic installation, without strategic planning, could significantly impact our food supply, exacerbating the already dire food insecurity faced by millions worldwide. Agriculture is already grappling with the repercussions of climate change. The California Department of Food and Agriculture reports a 10% decrease in irrigated farmland, translating to 752,000 acres less arable land. In 2022 alone, rice cultivation was halved (Keavy, 2022). As we stand on the precipice of shrinking agricultural landscape, the balance between land for food production and energy generation becomes ever more precarious. Furthermore, the efficiency of solar power must be scrutinized in the light of crop yield reductions. The ideal scenario would be one where solar energy not only complements but exceeds our energy needs, allowing us to forsake fossil fuels entirely. Yet, the reality is more complex. Solar efficiency is susceptible to weather conditions, cloud cover, and fluctuating temperatures. Studies have shown that on overcast days, solar panels operate at merely 10% to 30% of their capacity (Ficazzola, 2018). Additionally, for every degree above the optimal temperature, efficiency declines slightly by 0.3% to 0.5%, underscoring the nuanced nature of solar power generation (Palmetto, 2023). It is true that solar energy demands fewer conditional parameters than other renewable sources. However, if the net energy produced falls short of our needs, complete reliance on solar power remains unfeasible. The quest to maximize solar efficiency must contend with geographical realities, often finding the perfect confluence of factors to be a rarity. Caution Of Agrivoltaics The discourse on agrivoltaics solar panels is thus nuanced, comparing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for farmers against the potential aftermath for food production and the efficiency of solar technology. While the transition to renewable energy is imperative, it must not compromise food security. There are alternative renewable energy sources, but none can substitute the fundamental role of agriculture. The inclination to maximize farmland for harvesting solar energy is appealing, both economically and environmentally.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are evident, yet pale in comparison to the food security that such a shift entails. The agricultural sector is at a crossroads, where the utilization of fertile lands for food must be prioritized to avert a looming crisis. With the global population expected to reach 9.7 billion by 2050, and rural spaces dwindling, the urgency of this challenge cannot be overstated (Ritchie, 2023). Balanced approach This is the point where collective wisdom must prevail. Farmers and ranchers hold the key to securing our food future. However, this is not a simple decision. Each agriculturist faces a personal dilemma: to embrace the immediate financial allure of solar energy or to uphold the vital tradition of farming to feed an ever-growing population. Farmers and policy makers should contemplate this choice deeply. We must seek a balanced approach, one that harmonizes our energy aspirations with the immutable need for sustenance. It is a balance that must be struck with foresight and responsibility, ensuring that as we embrace the sun’s power, we do not cast a shadow over the essential nourishment of the generation of our communities to come. References Ayers, Andrew. (2022). Solar Energy and Groundwater in the San Joaquin Valley. (n.d.). Public Policy Institute of California. https://www.ppic.org/publication/solar-energy-and-groundwater-in-the-san-joaquin-valley/ Ficazzola, T. (2018). What Are The Effects of Weather on Solar Panels and Their Production? Solar Panel Installation in Staten Island & New Jersey. https://www.sisolarco.com/effects-weather-solar-panels-production/ Governor Gavin Newsom. (2022). California Releases World’s First Plan to Achieve Net Zero Carbon Pollution. California Governor. https://www.gov.ca.gov/2022/11/16/california-releases-worlds-first-plan-to-achieve-net-zero-carbon-pollution/ Keavy, M. (2022). New study says California’s farmland is shrinking due to years-long severe drought. (n.d.). Www.cbsnews.com. https://www.cbsnews.com/sacramento/news/california-farmland-shrinking-years-long-severe-drought/ ‌‌National Grid. (2023). How does solar power work? | National Grid Group. www.nationalgrid.com; National Grid. https://www.nationalgrid.com/stories/energy-explained/how-does-solar-power-work N-Sci Technologies. (n.d.). (2019). Agrivoltaics: What is it and how does it work? https://nsci.ca/2019/12/05/agrivoltaics-what-is-it-and-how-does-it-work/ ‌Palmetto. (2023). Solar Panel Temperature Range Explained. Palmetto.com; Palmetto. https://palmetto.com/solar/solar-panel-temperature-range-explained ‌Ritchie, H. et al(2023). Our World in Data. Population Growth. https://ourworldindata.org/population-growth Ruiz, A. (2022, February 11). 35 Latest Solar Power Statistics, Charts & Data [2022]. Theroundup.org. https://theroundup.org/solar-power-statistics/ Stawarz, S. (2024). Agrivoltaics: A New Kind of Double Harvesting - The Conservation Foundation. The Conservation Foundation -. https://theconservationfoundation.org/agrivoltaics/ ‌USDA Climate Hub. (2020). “Agrivoltaics: Coming Soon to a Farm near You?” www.climatehubs.usda.gov, www.climatehubs.usda.gov/hubs/northeast/topic/agrivoltaics-coming-soon-farm-near-you ‌Walker, E., & Langone, A. (2023). Solar Savings by State: How Much do Solar Panels Save? EnergySage. https://www.energysage.com/solar/much-solar-panels-save/ WHO. (2022). “Household Air Pollution.” Www.who.int, 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household-air-pollution-and-health#:~:text=The%20combined%20effects%20of%20ambient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3-23
  • [양재희의 아이코닉건축①] 부르즈 할리파(Burj Khalifa), 인간의 한계를 넘어선 초고층 아이코닉
    인간의 야망은 예로부터 하늘을 찌를 듯한 높이 경쟁에 두었다. 21세기 건축 기술의 정점을 보여주는 아이코닉 건축 부르즈 할리파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의 스카이라인을 압도하며 전 세계인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높이 828m, 163층 규모의 이 거대한 건축물은 사막의 땅에 인간의 땀방울이 빚어낸 놀라운 도전의 결실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존재이다. 사막의 꽃에서 발견한 기하학적인 디자인은 '히메노칼리스'에서 영감을 받았다. 꽃잎이 하늘을 향해 뻗어 나가는 듯한 Y자형 단면은 강렬한 바람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나선형 비대칭 형태는 건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독창적인 아름다움을 선물한다. 이슬람 건축 양식의 요소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디자인은 두바이의 문화적 정체성을 보여준다. 미학과 현대 공학의 원리를 절묘하게 결합한 세계적인 랜드마크로 위상을 떨치고 있다. 부르즈 할리파는 기술과 예술의 조화를 이룬다. 세계 최고 높이의 건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첨단 기술의 집약이 필수적이다. 초고강도 콘크리트와 첨단 강철 구조를 사용하여 극한의 환경에서도 안정성 유지를 한다. 또한, 초고속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수백 미터 높이의 전망대까지 단 1분여 만에 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건물 외벽에 설치된 첨단 냉방 시스템은 사막의 뜨거운 열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한다. 두바이의 꿈을 현실로 실현하여 경제성장과 발전을 상징하는 아이코닉 건축이다. 두바이는 진주 조개잡이로 생계를 이어가던 가난한 어촌 마을이었다. 유전이 발견되며 경제적 부를 창출하며 중동 금융의 허브가 되었다. 경제적 기반이 마련된 두바이는 석유 중심의 경제에서 벗어나는 시기를 대비하며 관광과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고자 했다. 두바이 정부는 부르즈 할리파를 통해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투자와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아이코닉 건축은 세계적인 도시로 발돋움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부르즈 할리파는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인간의 의지와 창의력을 보여주는 상징이 되었다. 지속 가능한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가는 부르즈 할리파는 건축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어 초고층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친환경 건축 기술, 스마트 빌딩 시스템, 3D 프린팅 기술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더욱 혁신적인 건축물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르즈 할리파는 초고층 건축의 미래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영감을 제공하며 인간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건축의 무한한 잠재력을 보여준다. 두바이의 번영과 야망을 실현한 아이코닉 건축 부르즈 할리파는 초고층 건축의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도시와 국가의 이미지를 세계 최초, 세계 최고 높은 건축을 통해 형성하고 경제적 가치 창출한다. 첨단 기술과 예술적 감각을 융합한 이 건축물은 두바이의 자존감이며 전 세계인의 마음속에 깊은 감동과 꿈을 담는다. 광활한 사막에 신기루처럼 탄생한 부르즈 할리파는 초고층 건축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며 끊임없이 높이의 도전을 받고 있다. 독창적인 창의력과 첨단 기술력이 결합해 인류가 추구하고자 하는 열망을 초고층 아이코닉 건축에 담아 놀라운 미래를 대비하게 한다. 덧붙이는 글 양재희 / Yang, Jae Hee 국민대학교 테크노전문대학원 건축디자인학과 석사, 동 대학원 건축 디자인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학위 논문은 “아이코닉 건축의 사회적 인터페이스 특성 연구”이며, 현재는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아이코닉 건축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며 더 나아가 사회, 문화, 예술 분야에 확장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환경 및 도시 재생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사단법인 한국ESG위원회 아동 인권 위원장이다. 교육 현장에 ESG 도입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기획하고 있다. 현재, 행복예감 출판사 대표이며 책 집필과 건축 디자인, ESG 컨설팅과 성공하는 CEO를 대상으로 퍼스널 브랜딩을 해주고 있다. 저서로는 「아이코닉 건축」, 「미래의 생존 전략 ESG」 등이 있다.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3-15
  • [코이오스의 뷰 ②] 청년 주도 조직의 부상: 젊은 기업가들이 변화시키는 글로벌 환경
    경험과 기업 권력이 혁신과 동의어로 여겨지는 세상에서, 새로운 세대의 젊은 비즈니스 리더들이 기존의 규칙을 다시 쓰고 있습니다. 교육, 기술,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청년 주도 기업들은 장벽을 허물며 나이와 무관하게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 소셜 미디어, 그리고 개방된 글로벌 시장을 자유롭게 활용하면서, 젊은 리더들은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기업가 정신과 자선 활동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젊은 리더들이 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입니다. 전통적인 기업이 계층 구조와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것과 달리, 청년 주도 조직들은 유연성, 혁신, 그리고 자신이 속한 커뮤니티와의 강한 연계를 기반으로 설립됩니다. 기후 변화, 교육 불평등, 자본 접근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젊은 기업가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현실화하고 있으며, 이는 과거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규모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업가 정신의 새로운 시대 청년 기업가 정신의 발달은 디지털 혁명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전 세대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무한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오늘날의 젊은 리더들은 적은 자본 또는 전혀 자본 없이도 기업이나 비영리 조직을 창업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마케팅, 크라우드펀딩, 그리고 기부금 모금과 같은 도구를 활용해 국경을 초월한 글로벌 확산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소셜 엔터프라이즈(사회적 기업)’의 급부상입니다. 수익 창출보다 사회적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이들 기업은 빈곤, 교육, 환경 문제 등을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의 성공은 단순한 경향이 아니라, 새로운 세대가 단기적인 이익보다 윤리적 경영과 지속 가능성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문화적 변화의 증거입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주도하는 에듀테크(교육 기술) 기업의 등장으로 교육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주로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저렴하거나 무료로 교육을 제공하여, 교육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창의적인 기술과 사명 중심의 사고방식을 결합하여, 이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교육을 개방하고 기업 리더십의 모델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고정관념을 깨고, 도전에 맞서는 젊은 기업가들 청년 주도 조직이 성공을 거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극복해야 할 큰 장애물이 존재합니다. 그중 하나는 신뢰의 문제입니다. 젊은 기업가들은 투자자, 소비자, 정책 결정자들의 신뢰를 얻기가 쉽지 않습니다. 전통적으로 중년 이상의 전문가들이 기업과 비영리 단체를 주도해왔기 때문에, 자본과 기관 자원에 접근하는 것은 젊은 리더들에게 도전 과제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점차 변화하고 있습니다. 청년 조직들이 지속적인 성과를 내면서, 기관과 투자자들은 점점 더 이들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벤처 캐피털(VC) 기업들은 점점 더 젊은 창업가들에게 투자하고 있으며, 혁신에 나이가 상관없음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다국적 기관들도 청년 조직의 역할을 인정하며, 보조금과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젊은 기업가들이 직면하는 또 다른 주요 도전 과제는 ‘일과 삶의 균형’입니다. 대부분의 청년 창업가는 학생이거나 최근 졸업한 상태에서 사업을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학업과 기업 활동을 동시에 병행해야 합니다. 기존의 비즈니스 리더들처럼 풍부한 금융 지원이나 인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어려운 환경에서도 살아남고 있는 것은 이들의 강한 의지와 끈기를 잘 보여줍니다. 공동체와 협업의 힘 청년 조직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협력적 성격’입니다. 전통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경쟁 중심적이라면, 청년 기업가들은 오히려 협업과 파트너십을 통해 더 큰 영향을 만들고자 합니다. 소셜 미디어는 이러한 협력을 촉진하는 핵심 도구가 되어, 전 세계의 젊은 리더들이 서로 소통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 정신은 특히 글로벌 운동과 비영리 조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10대 기후 운동가들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전 세계적으로 캠페인을 조직하고, 실제 정책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또한, 청년 중심의 교육 이니셔티브는 전통적인 교육 기관과 협력하여 장학금, 멘토링, 직업 개발 기회를 제공하는 등 기존 시스템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청년 기업가들을 위한 네트워킹 컨퍼런스, 온라인 포럼,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들도 이러한 협력적인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큐베이터(창업 보육 기관)는 멘토링, 자본, 전략적 방향을 제공하여 청년 리더들이 산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금융 혁신과 청년 창업가들의 활약 가장 혁신적인 산업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는 분야가 바로 ‘핀테크(FinTech, 금융 기술)’입니다. 기존 은행 시스템이 젊은 소비자들에게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학생 창업가들은 새로운 금융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탈중앙화 금융(DeFi)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금융 포용성 확대가 눈에 띕니다. 젊은 기업가들은 블록체인을 활용해 은행 시스템이 취약한 지역에서도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금융 소외가 경제 성장의 주요 걸림돌이 되는 개발도상국에서 특히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청년 창업가들은 금융 교육 분야에서도 변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투자, 신용, 저축 등에 대한 일반적인 무지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앱과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금융 지식을 쉽게 전달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게임화된 학습 방식, 실시간 시장 데이터 제공 등의 기능을 통해, 금융 교육이 더욱 접근 가능하고 실용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청년 기업가들 청년 기업가들의 부상은 단기적인 트렌드가 아니라, 기업가 정신과 비영리 활동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재정의입니다. 점점 더 많은 젊은 리더들이 기업 경계를 허물며, 혁신적이고 포용적이며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미래를 만들고 있습니다. 정부, 투자자, 기관들은 젊은 창업가들이 미래의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프라와 자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더 많은 자금 지원, 멘토링, 청년 친화적인 정책이 마련될수록, 더 빠른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청년 창업가들이 만들어 가는 성과는 나이가 리더십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와 끈기, 그리고 도전에 대한 열린 자세가 더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줍니다. 오늘날의 청년 창업가들은 단순히 사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본 기사는 ESG코리아뉴스 미국 학생기자 James Oh의 영문 오피니언으로 원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The Rise of Youth-Led Organizations: How Young Entrepreneurs Are Changing the Global Landscape Author: James Oh In a world where experience and corporate power are synonymous with innovation, a new generation of young business leaders is redefining the rulebook. From education to technology and finance, young-led businesses are shattering barriers, proving that age is not a factor when it comes to making a difference. With digital technology, social media, and an open global marketplace at their fingertips, young leaders are reshaping the face of entrepreneurship and philanthropy in ways unthinkable a decade ago. The most sensational aspect of this movement is the ability of young leaders to use technology to create solutions to significant social issues. Unlike traditional businesses founded on hierarchical structure and years of experience, youth organizations are founded on adaptability, innovation, and strong identification with the constituents they serve. From efforts to address climate change, educational inequality, or access to capital, these young businesspeople are bringing ideas to life on a scale never previously conceived. A New Era of Digital Entrepreneurship The development of youth entrepreneurship owes much to the digital revolution. With unlimited access to resources unavailable to previous generations, young leaders of today can start businesse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with minimal or zero capital. Online marketing, crowdfunding, and fundraising have allowed these young entrepreneurs to share their work across borders, with a global reach. One of the strongest evidence of this is the rise of social enterprises—businesses that are mission-driven instead of profit-driven. More and more young entrepreneurs are choosing to launch businesses that address problems directly, such as poverty,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instead of for profit. The success of these businesses is a sign of a broader cultural shift, one in which the next generation is more concerned with ethical business and long-term viability than short-term profit. For instance, the emergence of student-led ed-tech firms has transformed the access to education among youth. The majority of these firms provide affordable or free courses to students from disadvantaged communities, bridging the divide between advantaged and disadvantaged learners. Through the application of creative technology coupled with a mission-driven mindset, these firms are opening up education and transforming the model of what it takes to be a business leader. Shattering Stereotypes and Overcoming Obstacles Although they succeed, young organizations are faced with tremendous challenges, particularly with credibility. Young business people struggle to gain the trust of investors, consumers, and policymakers who will naturally relate youth to lack of experience. Veteran professionals of middle age have long dominated the conventional business and nonprofit paradigms, and this has been challenging young leaders to access capital and institutional assets. But that is changing. As more youth organizations deliver, institutions and investors are waking up and taking heed. Venture capital firms, for example, are investing increasingly in young people's businesses, aware that innovation is ageless. Governments and multinational institutions are also becoming aware of the role of youth organizations, offering grants and mentorship schemes to help them build. The second major challenge young entrepreneurs have is the work-life balance. They are mostly students or recent graduates who must balance entrepreneurial life and academic life. Unlike the traditional business gurus, they do not typically have the financial backing and networks that come with experience. Yet the fact that they are able to survive under such conditions speaks volumes about their willpower and resilience. The Power of Community and Cooperation One of the most defining aspects of youth organizations is that they are collaborative in nature. Whereas other business models are competitive, most young entrepreneurs are actually seeking partnerships and collaborations in order to create a bigger impact. Social media platforms have been at the forefront of this, where young leaders from around the world can talk to each other, share ideas, and collaborate on projects. This sense of cooperation is strongest in global activism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een climate activists, for example, have mobilized on social media to coordinate global campaigns that have led to real policy reforms. Similarly, youth-oriented education initiatives have a propensity to cooperate with traditional institutions to extend their reach, providing mentorship schemes, scholarship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o students who would otherwise remain inaccessible. Networking conferences, online forums, and accelerator programs specifically designed for young entrepreneurs have also contributed to this collaborative environment. Incubators also offer mentorship, capital, and strategic guidance to numerous youth organizations. These services not only assist young leaders in developing their ideas but also empower them to enter challenging industries. Technology and Inclusivity of Finance: Young Entrepreneurs in FinTech Perhaps one of the most revolutionary industries where young founders are basking in their day in the sun is financial technology or FinTech. Where traditional bank systems repeatedly fall short for young consumers, students have filled in. They are creating innovative methods of investing, banking, and financial knowledge, particularly for underserved communities. Many of them aim at decentralized finance (DeFi) and blockchain technology, which promote financial inclusion. Young entrepreneurs apply blockchain to build systems where rural communities can enjoy bank services without necessarily going through traditional financial systems. These innovations gain their greatest appeal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financial exclusion is one of the largest growth limitations. Young leaders are also tackling financial literacy through mobile apps and digital platforms. Realizing that there is general ignorance of investing, credit, and savings, these young entrepreneurs are designing digital platforms to educate and empower individuals to take care of their financial lives. Through interactive lessons, games, and current market data, financial education is now becoming interactive and accessible. Looking Ahead: The Young Entrepreneur of Tomorrow The rise of entrepreneurship among youngsters is not temporary but is instead a complete reevaluation of entrepreneurship and how not-for-profits approach their work. The increased number of youngsters in command is breaking entrepreneurship boundaries one by one. The future of entrepreneurship is going to be inclusive, innovative, and socially responsible, courtesy of young entrepreneurs. As governments, investors, and institutions see more and more the potential of young people to be future leaders, they should ensure they offer them infrastructure and resources to help them grow. This means increased funding, mentorship, and policy systems that encourage young entrepreneurs to grow. The earlier this kind of leadership is adopted, the earlier transformative change can take place. Ultimately, the achievements of young people in their own ventures confirm that years of age do not necessarily establish one's leadership but courage, persistence, and readiness to take gambles. Today's young entrepreneurs are not simply establishing ventures—these individuals are constructing futures. References Britten, M., & Deane-Ryan, D. (2020). Global Scan of Youth-led Organisations Active on Climate and/or Biodiversity and Youth-supporting Partners Written by. https://www.rhfamilyfoundationglobal.org/media/RHFF_2020_Global_Scan_of_Youth_Led_Organisations_Exec_Sum_Full_Version.pdf Gavin, A., & World Economic Forum. (2024, August 12). Meet 3 social innovators using tech to empower the (UNCDF). (n.d.). Www.uncdf.org. https://www.uncdf.org/article/5631/youth-entrepreneurs-engaging-in- the-digital-economy-the-next-generation Youth Power drives youth-led initiatives to tackle pressing global problems. (2024). SOS Children’s Villages. https://www.sos-childrensvillages.org/news/youth-power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3-12
  • [윤재은 칼럼] ‘리좀(Rhizome)’과 생성형 사회
    리좀(Rhizome)은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펠릭스 가타리(Félix Guattari)가 《천 개의 고원(Mille Plateaux)》(1980)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전통적 위계질서에 반대되는 비위계적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리좀은 시작도 끝도 없고, 상/하의 위계질서도 존재하지 않으며, 우열도 가릴 수 없다. 들뢰즈와 카타리는 현대사회의 수목 구조를 해체하면서 동시에 해체된 세상을 리좀으로 연결하는 노마드적 시선을 제시했다. 리좀은 땅속줄기를 뜻하는 말로 잔디의 뿌리에서 길게 연결된 줄기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말한다. 리좀은 세계를 구성하는 수많은 객체들이 고원(Plateau)과 연결되어 하나의 리좀을 형성한다. 고원(Plateau)은 비교적 평탄한 땅의 고지대를 뜻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다. 세계의 모든 존재는 고원의 연결에 따라 서로의 정체성을 달리하며 연결접속의 반복을 통해 세계를 형성한다. 서양 철학은 수목 구조를 모델로 삼아 왔다. 수목 구조란? 뿌리(근본) → 줄기(체계) → 가지(분류)로 이어지는 위계적 질서로 2,500년 동안 서양 사고의 기본모델이었다. 수목 구조는 중심이 존재하며, 선형적이고 질서적인 사고방식을 중시한다. 하지만 리좀(Rhizome)은 비위계적, 탈중심적, 다원적, 비선형적 사고를 의미한다. 리좀처럼 연결된 사회는 중심 없이 네트워크처럼 연결되어 비선형적 관계를 형성한다. 리좀의 비선형성은 땅속에 묻혀 있는 구근식물의 뿌리줄기처럼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연결되며, 분절되더라도 또다시 새로운 모형으로 결합, 생성된다. 이러한 리좀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탈중심(Decentralization)적이다. 리좀은 탈중심적이다. 즉, 하나의 중심이 존재하지 않으며, 어디서든 출발하고 어디로든 연결될 수 있는 구조이다. 특정한 권위나 핵심 개념에 종속되지 않고 중심이 없다. 모든 요소는 수평적으로 연결되며 비위계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경로와 방식으로 확산되어 유동적이며 다원적이다. 서로의 객체는 끊어져도 다시 연결되며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리좀이 탈중심적이라는 것은 고정된 중심 없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확장되기 때문이다. 탈중심적 리좀 개념은 디지털 시대의 사회구조를 가장 잘 대변하는 말이다. 과거 수목 구조 체계는 상/하의 관계가 명확하지만 리좀 구조는 수직적 위계보다 수평적 관계를 중시며 탈중심적이다. 리좀의 탈중심성과 국가의 정치적 연관성은 중앙집권적 권력 구조에서 벗어나 지방 분권, 수평적 거버넌스, 시민 참여형 민주주의로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경제적 탈중심성은 대기업 중심의 독점 경제에서 벗어나 공유경제, 분산형 경제시스템을 통해 다양하게 확산될 수 있다. 특히 블록체인과 지역화폐 등이 가능하다. 산업적 탈중심성은 전통적 대량 생산 체제에서 벗어나 네트워크 기반의 창조 산업, 스타트업, 탈중앙화된 협업 구조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리좀적 탈중심성은 기존의 위계적이고 중앙집중적인 체계를 해체하고, 분산·연결·자율성을 기반으로 한 유동적이고 창조적인 사회구조를 만들어 갈 수 있다. 둘째, 비선형(Nonlinear)적 구조이다. 리좀은 시작과 끝이 정해져 있지 않고 비선형 구조(NonLinear)를 가지고 있다. 비선형 구조는 선형 구조와 달리 여러 개의 자료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구조이다. 선형 구조(Linear Structure)는 A-B-C처럼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한 방향을 향한다. 특히 시간 순서에 따른 이야기나 계보, 명령체계를 가진다. 하지만 비선형 구조(Nonlinear Structure)는 일정한 순서나 방향 없이 다중적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특히 인터넷에서 웹페이지는 하나의 경로가 아닌 다양한 링크를 통해 이동 가능하다. 하이퍼텍스트처럼 문서를 선형적으로 읽을 필요 없이 원하는 정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비선형 구조에서는 특정한 먹이사슬이 아니라 다층적 상호작용에 의해 생태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리좀이 비선형 구조인 것은 위계 없이 다양한 개념들이 서로 연결되어 발전하기 때문이다. 리좀의 비선형성과 국가의 정치적 연관성은 단일한 권력 계층이 아니라, 다원적이고 복합적인 이해관계가 공존하는 네트워크형 정치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직접 민주주의와 시민 참여 플랫폼을 만들 수 있다. 경제적 비선형성은 일방향적 성장 모델이 아닌, 다양한 경로와 방식으로 발전하는 분산형 경제로 발전할 수 있다. 즉, 플랫폼 경제, 디지털 자산, P2P 금융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산업의 비선형성은 기존의 전통적 생산 방식에서 벗어나, 융합적·협업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유기적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제조, 공유경제, 개방형 혁신을 통해 비선형적 경제 체계를 개편할 수 있다. 셋째, 다양체(Multiplicity)적 구조이다. 리좀은 고정된 중심이 없고 하나의 핵심이나 본질이 존재하지 않는 구조이다. 특히 비선형적 연결을 통해 다양한 요소가 수평적으로 얽혀 무한한 변이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관계와 구조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확장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리좀은 하나의 통일된 개념이 아니라 서로 다른 요소들이 공존하며 단일 실체를 거부하고 다중 실체로 나아간다. 특히 부분이 전체를 대체하지 않고, 각각의 요소가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연결되어 있다. 리좀의 다양체 구조는 단일한 질서가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고 확장되는 다원적인 관계망을 의미한다. 리좀의 다양체적 국가의 정치적 연관성은 다양한 정치적 의견과 집단이 공존하며, 각각의 집단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복합적 정치 구조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다당제, 시민 단체의 활동, 다양한 의견이 상호작용하는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다. 경제의 다양체적 구조는 중앙 집중화된 경제 모델에서 벗어나, 여러 경제 주체들이 독립적으로 활동하고 상호 연결되는 다원적 경제 구조를 만들 수 있다. 특히 스타트업, 소규모 기업, 협동조합, 크라우드펀딩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산업부문에서는 기존의 대기업 중심 산업 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업과 산업 분야가 상호 연결되어 발전하는 네트워크형 산업체계를 갖출 수 있다. 특히 협업 경제, 생태계 기반 혁신, 분산형 생산 모델 등의 실현이 가능하다. 넷째, 내재(Immanence)적 구조이다. 리좀의 내재적 구조는 존재의 본질이 아닌,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초월적 존재나 중심적 이념 없이 스스로 존재하며 외부적 원리에 종속되지 않는다. 각각은 자체적으로 의미를 가지고 상호작용하며 구성 요소들이 독립성을 유지하며 연결되어 있다. 특히 외부의 영향이 아니라 내부의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변형되며, 내부에서 변화와 생성이 일어난다. 리좀은 특정한 목적이나 중심이 없이 자율적으로 전개되며 고정된 본질이 존재하지 않는다. 리좀의 내재적 구조는 외부적 권위나 절대적 기준 없이, 스스로 형성되고 변화하는 개방적 체계를 의미한다. 내재적 국가의 정치적 연관성은 외부의 강제적 권위나 규범 없이, 정치적 변화와 의사결정이 내부에서 자율적으로 발생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풀뿌리 민주주의, 시민 주도의 정치 참여가 이에 해당한다. 경제에서는 경제적 변화와 혁신이 내부적 동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분산형 경제 시스템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로컬 경제, 자생적 기업, 협동조합 등을 통해 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산업에서는 내부의 관계와 협력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과 혁신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개방형 혁신, 창의적인 산업 클러스터, 네트워크 기반 협업 등이 가능하다. 리좀의 내재적 구조는 국가의 정치·경제·산업에서 외부의 강제적 원리 없이 내부의 관계와 동력에 의해 자율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체계를 가질 수 있다. 다섯째, 탈영토화(Deterritorialization)적 구조이다. 리좀의 탈영토화적 구조는 고정된 틀이나 제한된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기존 경계를 넘어서 확장되는 구조이다. 언제든 새로운 연결과 변화를 만들어내며 유동적이고 가변적이다. 기존 수목 구조를 해체하고 자유롭게 연결되며 위계적 질서로 부터 벗어난다. 특정한 장소나 체계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며 새로운 관계와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리좀의 탈영토화는 기존의 경계를 허물고, 끊임없이 이동하며 새로운 연결을 창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리좀의 탈영토화와 정치적 연관성은 중앙집권적 권력 구조에서 벗어나, 지방 분권과 시민 주도의 정치 참여가 강화되며 정치적 경계가 확장될 수 있다. 경제에서는 특정 산업이나 지역에 얽매이지 않고, 글로벌화와 분산형 경제 모델을 통해 경제 체계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경제와 온라인 플랫폼 등이 확산될 수 있다. 산업에서는 고정된 산업 영역을 넘어, 융합 산업과 국경을 초월한 협업 체계가 구축되면 스타트업, 글로벌 협업 네트워크 등이 활성화될 수 있다. 리좀을 통한 생성형 사회로의 전환은 다음과 같다. 리좀은 초지능화 사회에서 인공지능과 함께 생성형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최고의 전략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그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첫째, 생성형 사회와 정치 리좀적 사고는 중앙집권적 구조를 해체하고 분산화와 다원주의를 강조하는 특성을 가진다. 초지능화 사회에서, 인공지능의 지원을 받아 다양한 사회적 요구와 의견을 즉시 반영할 수 있는 정치적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을 활용한 시민 참여 플랫폼은 정치적 의사결정을 실시간으로 민주적으로 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반영할 수 있다. 리좀적 사고는 탈중심적이고 수평적인 정치 구조를 통해, 모든 참여자가 평등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를 만든다. 이와 같은 구조는 직접 민주주의, 지방 분권, 시민 주도 정치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생성형 사회와 경제 리좀적 사고는 경제적 탈중심화, 분산형 경제 모델을 지향한다. 초지능화 사회에서 인공지능은 경제적 결정들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랫폼 경제와 공유경제, P2P 금융과 같은 분산된 경제 모델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을 통해 디지털 자산 및 분산형 통화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경제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리좀적 사고는 대기업 중심 경제에서 벗어나, 다양한 경제 주체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도 상호작용하고 협력하는 경제 모델을 지향한다. 이는 경제적 다양성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생성형 사회와 산업 리좀적 사고는 산업 구조의 탈중심화와 다원화를 강조한다. 초지능화 사회에서 인공지능이 산업 생산을 더 효율적으로 재편성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가 네트워크형 협업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지원한다. 기존의 대기업 중심 대량 생산 체제에서 벗어나, 스타트업과 분산형 생산 시스템이 활성화될 수 있다. 스마트 제조, 디지털 트윈, 3D 프린팅 등을 통해 다양한 산업들이 서로 연계되고 협업하여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생태계를 만들어갈 수 있다. 리좀적 사고는 산업 내 융합적 협업을 통해 창조적 혁신을 이끌어내는 핵심 전략이 될 수 있다. 넷째, 생성형 사회와 복지 리좀적 사고는 인간 중심의 복지 시스템을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AI 기반의 맞춤형 복지 서비스는 개인의 필요와 요구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는 건강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별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실시간으로 직업교육과 재취업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리좀적 사고는 분권적 복지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여, 복지 서비스를 각 지역 사회와 개인의 상황에 맞게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헬스케어, 온라인 교육 등의 시스템은 사람들의 생활 전반에서 자율적이고 평등한 기회를 보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섯째, 생성형 사회와 국방 리좀적 사고는 국방의 탈중심화와 네트워크화를 지향한다. 초지능화 사회에서 인공지능이 군사 전략과 전술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중앙집중적인 군사 전략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분산형 방위 체계는 특정 지역이나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글로벌하고 유기적인 방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인 전투 시스템, 드론 및 로봇를 통한 국방은 탈중심적이고 효율적인 국방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리좀적 사고는 국방의 분산형 협력과 네트워크 기반 방위 시스템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전쟁의 양상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리좀적 사고는 초지능화 사회에서 인공지능과 함께 생성형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으로 각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탈중심화, 비선형적 연결, 다양체적 관계, 내재적 생성의 특성을 활용하여, 정치, 경제, 산업, 복지, 국방 등 여러 분야에서 기존의 위계적 구조를 탈피하고 더 유연하고 창조적인 시스템을 만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인간과 기술이 상호작용하며 발전하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3-05
  • [코이오스의 뷰 ①] 디지털 화폐 혁명... CBDC가 개발도상국 경제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는 오늘날 세계 경제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는 기술로, 특히 금융 포용을 확대하고 거래 비용을 줄이며 최신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개발도상국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유엔 개발 계획(UNDP)은 이러한 국가들에서 CBDC의 도입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광범위하게 검토하고, 기회와 도전에 대해 보고하였다. 금융 시스템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CBDC의 사용은 개발도상국에게 금융 포용 격차를 해소하고, 통화 정책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며, 경제적 안정성을 촉진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 CBDC는 중앙은행이 발행하고 관리하는 국가의 법정 화폐를 전자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비트코인과 같은 분산형 암호화폐와 달리, CBDC는 중앙집중화되어 있으며 발행 정부의 신뢰와 보증에 의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다. CBDC의 기술적 기반은 블록체인으로, 이는 거래를 컴퓨터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기술로, 데이터 무결성, 보안 및 투명성을 제공한다. 각 블록은 이전 블록과 연결된 거래 목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변경할 수 없는 체인을 형성한다. 이 분산형 설계는 아무도 전체 체인을 독점하지 않도록 하여 디지털 화폐에 확고한 기반을 제공한다. 블록체인은 원래 민간 암호화폐와 주로 연관되었지만, 이제 중앙은행들은 허가된 블록체인 시스템이나 혼합 모델을 사용하여 금융 시스템을 감독하면서 분산형 기술의 효율성과 보안을 활용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 CBDC 사용의 주요 이점 첫째, 금융 포용 확대이다. 많은 개발도상국과 저소득 경제에서 큰 인구가 기존 금융 시스템과 국제 금융 네트워크에 접근하지 못한 채 은행 계좌가 없거나 불완전하게 서비스를 받고 있다. CBDC는 은행 계좌 없이도 국제 경제에 접근할 수 있는 포용적이고 안전한 디지털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중앙은행은 라디오 기술을 통해 시골 지역에 CBDC를 배포할 수 있으며, 이는 물리적 은행 지점의 필요성을 줄여준다. 금융 포용은 사람들에게 경제적 자립을 가능하게 하고, 저축, 신용 및 보험 서비스와 같은 중요한 금융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둘째, 거래 비용 절감이다. CBDC는 개발도상국에서 비효율적이고 비싼 결제 시스템, 특히 국경 간 송금 및 결제를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송금은 많은 개발도상국 GDP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으로 인해 큰 영향을 받는다. CBDC는 중개자의 수를 줄여 결제를 더 저렴하고 빠르게 만들 수 있다. 이는 이주 노동자들이 본국에 가족에게 송금할 때 특히 유용하며, 거래 비용이 줄어듦으로써 송금액의 더 많은 부분이 수혜자에게 도달하게 되어 그들의 경제적 복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통화 정책의 향상된 제어이다. CBDC는 중앙은행이 경제에서 더 정확하게 개입할 수 있게 하여 통화 정책을 개선할 수 있다. 현금경제는 유동성 관리 문제, 인플레이션, 그리고 통화 유통에 취약하다. 중앙은행은 디지털 화폐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이를 통해 더 나은 정책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조절하고, 경제 위기를 관리하며, 전체적인 금융 안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CBDC는 또한 정부가 직접 시민에게 재정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복지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이고, 현금 배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행위와 누수를 줄여준다. 넷째, 보안 및 반사 기능이다. CBDC는 디지털 특성과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하여 위조나 불법 금융 활동과 같은 위협을 없앨 수 있는 향상된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거래는 투명하고 추적 가능하며, 자금 세탁, 세금 회피 및 부패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투명성은 금융 시스템에 대한 공공의 신뢰를 증진시켜, 공식 경제의 사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계약—조건이 코드로 직접 작성된 자동 실행 계약—을 사용하여 다양한 금융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보안을 강화하며, 인적 오류와 사기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CBDC의 도입과 도전 과제 CBDC의 도입과 도전 과제는 첫째, 인프라 부족이다. 개발도상국은 국가 디지털 화폐 시스템을 지원할 인프라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 연결, 스마트폰 보급률, 디지털 문해율은 국가마다 큰 차이를 보이며, 이는 CBDC 채택에 중요한 장애물로 작용한다. 둘째, 규제 문제이다. 중앙은행은 혁신이 금융 안정성과 소비자 보호를 고려한 규제 하에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셋째, 프라이버시 문제이다. 많은 시민들이 정부가 디지털 화폐 거래를 감시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어, CBDC 시스템은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CBDC 설계 모델의 가능성 도매 CBDC는 은행 및 은행 간 결제에 사용되어 고액 결제와 유동성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소매 CBDC는 일반 대중이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현금 대안으로, 특히 현금 사용이 여전히 널리 퍼져 있는 국가에서 일상적인 금융 거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각국의 경제적 및 기술적 조건에 따라 도입될 모델이 결정된다. 주요 국가들의 CBDC 도입 사례로는 다음과 같다. 나이지리아는 2021년 10월, 아프리카 최초로 디지털 화폐인 eNaira를 출시하였다. eNaira는 금융 포용을 촉진하고 현금 거래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 도입은 저조했지만, 이는 공공의 인식 제고와 신뢰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동카리브 제도의 동카리브 중앙은행(ECCB)은 여러 카리브해 국가 간 거래를 촉진하기 위해 디지털 화폐 DCash를 도입하였다. 중국 디지털 위안은 개발도상국의 CBDC가 아니라, 대규모 CBDC 배치를 위한 프로토타입으로, 수백만 명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BDC의 향후 전망 IMF, 세계은행, UNDP와 같은 국제기관들은 CBDC 프로젝트를 위한 기술적 지원, 정책 가이드라인, 인프라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중앙은행과 핀테크 기업 간의 파트너십은 CBDC 시스템을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디지털 경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CBDC의 개발도상국에서의 도입은 금융 시스템을 혁신하고, 통화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며, 저소득층의 금융 접근을 개선하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인프라 제한, 규제 문제 및 신뢰 문제는 신중하게 다뤄져야 하지만, 그 이점이 비용을 능가한다. 더 많은 국가들이 디지털 화폐 옵션을 탐색함에 따라, 글로벌 금융 시스템은 더 포용적이고 효율적이며 기술 중심으로 발전할 것이다. CBDC의 성공적인 구현은 철저한 계획, 부문 간 협력 및 각 지역의 고유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다. 올바르게 구현된다면, CBDC는 향후 몇십 년 동안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빈곤을 줄이며, 금융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본 기사는 ESG코리아뉴스 미국 Yoon Jong Oh의 영문 오피니언으로 원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The Digital Currency Revolution: How CBDCs Are Transforming Developing Economies By YoonJong Oh The Digital Currency Revolution: How CBDCs Are Transforming Developing Economies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CBDCs) are today a game-changing innovation in the global economy, particularly for developing economies looking to enhance financial inclusion, reduce transaction costs, and establish an up-to-date monetary system.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has extensively reviewed the possible impact of CBDC rollout in such countries, reporting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s financial systems continue to evolve, the use of CBDCs by emerging economies presents a unique opportunity to bridge financial inclusion gaps,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monetary policy, and encourage economic stability. CBDCs are electronic representations of a nation's fiat currency, issued and managed by the central bank, as electronic legal tender. Unlike decentralized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with no central control and known for their volatility, CBDCs are centralized and secured by the full faith and credit of the issuing government and therefore stable and reliable. The technology used for CBDCs is blockchain—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that stores transactions on a network of computers, offering data integrity, security, and transparency. Each block contains a list of transactions linked to the previous block, forming a chain that cannot be altered. This decentralized design ensures that no one institution has custody of the whole chain, giving digital money a firm foundation. While blockchain has been most widely associated with private cryptocurrencies, central banks are now using permissioned blockchain systems or hybrid models that allow them to oversee the financial system while enjoying the efficiency and security of decentralized technology. For developing countries, CBDC usage can be one of the solutions for some of the chronic financial issues. The biggest benefit is possibly the ability to improve financial inclusion. In most developing and low-income economies, large segments of the population remain unbanked orunder-banked because they do not have access to conventional financial systems a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network. CBDCs have the potential to offer an inclusive and safe digital payment instrument, allowing those without bank accounts to tap into the international economy and access a wide pool of opportunities. Central banks can distribute CBDCs via radio technology to rural communities, lowering the necessity for physical bank branches. Inclusion has the potential to economically empower people and ease access to savings, credit, and insurance financial services that are most vital for financial security and economic mobility. Another major benefit of CBDCs is the ability to reduce the cost of transactions, particularly cross-border remittances and payments. Payment systems in developing economies are inefficient and expensive, with slow processing. Remittances, which are a major proportion of GDP in most developing economies, are particularly affected by such inefficiencies. CBDCs can improve payment processes by reducing the number of intermediaries, making payments cheaper and quicker. Such efficiency is particularly useful for remittances by migrant workers to their families in their home countries because reduced transaction costs mean that a greater proportion of remitted funds reach the intended recipients, enhancing their economic well-being. The application of CBDCs also gives central banks greater control over monetary policy, allowing them to intervene better and more precisely in the economy. Cash economies are susceptible to liquidity management issues, inflation, and currency circulation. Central banks can track money flow in real time with a digital currency, allowing them to make sound policy choices. This is critical in controlling inflation, managing economic crises, and maintaining overall financial stability. CBDCs can also facilitate direct fiscal transfers to citizens, making government welfare schemes more effective by eliminating fraud and leakages in cash distribution mechanisms. By allowing governments to transfer aid directly to people via digital wallets, CBDCs can increase transparency and prevent corruption in social welfare schemes. Security and anti-fraud are some of the reasons why CBDCs are a perfect choice for developing nations. The digital aspect of CBDCs, combined with blockchain technology, offers enhanced security features that eradicate threats such as counterfeiting and illicit financial activities. Transactions are transparent and traceable, and money laundering, tax evasion, and corruption are reduced. Such transparency can foster public trust in the financial system, thereby the greater use of the formal economy. Additionally, the use of smart contracts—self-executing contracts whose terms are written directly in code—can automate and secure various financial processes, reducing human error and the possibility of fraudulent activities. Despite many advantages, there are obstacles to the implementation of CBDCs. Third-world nations lack the infrastructure to support a national digital currency system. Reliable internet connectivity, smartphone penetration, and digital literacy rates vary greatly between nations, representing a significant barrier to adoption. Central banks must also contend with complex regulatory systems, ensuring that innovation is weighed against financial stability and consumer protection. Privacy is also a significant factor in CBDC adoption because most citizens are afraid of government interference and monitoring of digital monetary transactions. Policymakers must, therefore, ensure that CBDC systems incorporate privacy-preserving features with regulatory protectio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oices in CBDC design is whether to implement a wholesale or retail model. Wholesale CBDCs are for banks and interbank use, facilitating more efficient and secure high-value payments. Retail CBDCs are for use by the general public, as a digital cash alternative. While wholesale CBDCs are advantageous in terms of liquidity management and financial stability, retail CBDCs would potentially transform everyday financial transactions, especially in countries where the use of cash is still prevalent. The model to be implemented depends on the unique economic and technological conditions of each country. Several developing nations have already made significant strides toward implementing CBDCs. Nigeria introduced the eNaira in October 2021, the first African nation to issue a digital currency. The eNaira is designed to encourage financial inclusion and reduce cash-based transactions. Early adoption has been sluggish, however, indicating the necessity for greater public awareness and trust building. The Eastern Caribbean Central Bank (ECCB) introduced DCash, a digital currency designed to facilitate transactions across several Caribbean nations. The ECCB is looking to increase financial connectivity and reduce transaction costs in a region where cross-border trade is vital to economic development. China's digital yuan, not a developing nation initiative, is a prototype for large-scale deployment of CBDCs, with pilot programs continuing to serve millions of users across a range of industries. In the years to come, the role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 the evolution of CBDC for emerging economies cannot be overstated. Int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the World Bank, and the UNDP are closely working with governments to provide technical assistance, policy guidance, and infrastructure support for CBDC projects. Central bank-fintech partnerships will also play a crucial role in making CBDC systems efficient, secure, and responsive to the evolving digital economy. In short, the application of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in emerging economies has a tremendous potential to revolutionize financial systems, improve the efficiency of monetary policy, and enhance financial access to poor communities. While infrastructure limitations, regulatory concerns, and trust issues must be dealt with carefully, the benefits outweigh the costs. As more countries explore digital currency options, the global financial system will be biased towards a more inclusive, efficient, and technologically driven system. The success of CBDCs in emerging economies will depend on sound planning, cross-sectoral coordination, and the ability to meet the unique needs of each region. If implemented correctly, CBDCs can help spur economic growth, reduce poverty, and enhance financial resilience in the next few decades. Bibliography Adrian, T., He, D., Mancini-Griffoli, T., & Sun, T. (2023, November 20).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Development Enters the Next Phase. IMF. https://www.imf.org/en/Blogs/Articles/2023/11/20/central-bank-digital-currency-development-ent ers-the-next-phase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Can Boost Middle East’s Financial Inclusion, Payment Efficiency. (2024, June 18). IMF. https://www.imf.org/en/Blogs/Articles/2024/06/18/central-bank-digital-currencies-can-boost-mid dle-easts-financial-inclusion-payment-efficiency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Tracker. (n.d.). Atlantic Council. https://www.atlanticcouncil.org/cbdctracker Decrypting crypto. (2025). UNDP. https://www.undp.org/blog/decrypting-crypto Foster, K., Blakstad, S., Gazi, S., & Bos, M. (2021). The findings of the Dialogue on Global Digital Finance Governance are packaged into three thematic areas: BigFintechs and their impac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 Technical Paper 1.1 BigFintechs and their impac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 Technical Paper 1.1B BigFintechs and their impacts on macroeconomic policies • Technical Paper 1.2 Digital currencies and CBDC impacts on least developed countries Corporate governance innovations • Technical Paper 2.1 BigFintechs and the UN SDGs: the role of corporate governance innovations BigFintechs and international governance, policymaking and the SDGs • Digital currencies and CBDC impacts on least developed countries (LDCs) Dialogue on Global Digital Finance Governance. https://www.undp.org/sites/g/files/zskgke326/files/2021-06/UNDP-UNCDF-TP-1-2-Digital-Curr encies-and-CBDC-Impacts-on-Least-Developed-Countries-LDCs-EN.pdf Johnson, C. S. (2021, August 11).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in emerging markets | BusinessFeed. Cornell SC Johnson. https://business.cornell.edu/hub/2021/08/11/central-bank-digital-currencies-emerging-markets.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2-25

실시간 자유기고 기사

  • [코이오스의 뷰 ④] 아미타이 파이비쉬(Amitay Faibish)의 3월 독일 ESG 동향 분석
    환경 이니셔티브 및 정책 2025년 3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독일에서는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ESG) 관련 중요한 발전이 있었습니다. 독일 정부는 기후 변화 대응에 대한 헌신을 재확인하며, 신설된 5,000억 유로 규모의 인프라 및 국방 기금 중 1,000억 유로를 기후 행동 및 에너지 전환 프로젝트에 할당했습니다(ESG News, 2025). 이 투자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 지속 가능한 인프라 구축 및 2045년까지 기후 중립 목표 달성을 지원합니다. 독일의 재생 가능 에너지 부문도 계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독일 연방 네트워크 기관은 2024년 재생 가능 에너지 설치 용량이 12% 증가하여 총 1,900GW에 도달했다고 보고했습니다(Germany Trade & Invest, 2025).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이 주도한 이 성장 덕분에 독일 전력의 약 60%가 재생 가능 에너지원에서 공급되었으며, 석탄 의존도가 감소했습니다. 독일 정부는 2030년까지 전력의 80%를 재생 가능 에너지원에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독일 정부는 환경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및 제조업 부문에 대한 배출가스 규제를 강화하여 기업들이 친환경 기술을 도입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발전과 시위 독일 민간 부문은 정부 지출 증가 덕분에 10개월 만에 가장 빠른 성장을 기록했습니다(Bloomberg, 2025). 소비자 수요 증가, 비즈니스 신뢰 회복 및 고용 시장 성장 등이 이 같은 경제적 활력을 이끄는 요인입니다. 특히 서비스 부문에서 두드러진 성장이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사회적 긴장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최근 독일-폴란드 국경에서는 난민 및 망명 신청자의 폴란드 송환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졌습니다(Notes from Poland, 2025). 여러 인권 단체는 독일의 강제 송환 정책이 국가의 인도주의적 전통을 훼손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러한 시위는 EU 난민 정책에 대한 광범위한 우려와도 연결됩니다. 한편, 베를린과 함부르크에서는 생활비 상승에 항의하는 시위가 있었습니다. 시위대는 특히 주택 및 에너지 비용과 관련하여 정부의 개입을 촉구했습니다. 최근 정부가 일부 전기 요금 보조금을 삭감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 많은 시민이 우려를 표명했으며, 저소득층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장기적인 경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중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방어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거버넌스 및 정치 동향 이번 주 독일 정치에서는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극우 정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 의회 의석을 두 배로 늘리며 입법 과정에서 더 강한 역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Reuters, 2025). 한편, 독일 연방의회(분데스타크)는 헌법 개정을 승인하여 국방 예산 4,000억 유로 및 인프라·녹색 에너지 투자에 5,000억 유로를 추가 지출하는 계획을 확정했습니다(Wikipedia, 2025). 이는 프리드리히 메르츠(Friedrich Merz) 총리의 안보 중시 정책을 반영하며, 독일의 전통적으로 신중했던 국방 지출 접근 방식에서 완전히 벗어난 행보를 의미합니다. 또한, 녹색당(Green Party)에서는 내부 에너지 정책 및 연립 정부 내 갈등으로 인해 지도부 개편이 이루어졌습니다. 분석가들은 이 변화가 독일의 기후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일부 당원은 화석 연료 의존도를 더욱 신속히 줄일 것을 주장하는 반면, 다른 당원들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경제적 실효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기업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독일 기업들에 대한 거버넌스 기준을 강화하려는 압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규제 당국은 경영진 보수의 투명성 강화, 이사회 다양성 확대, 주주 권한 보호 등의 개선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ESG 원칙과 기업 운영의 윤리적 기준을 보다 밀접하게 정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외교 정책 동향 독일 외교 정책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 안보 및 글로벌 무역 관계에서 중요한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는 러시아의 군사 활동 증가에 대응하여 유럽 방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독일의 외교 노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독일은 우크라이나에 추가적으로 100억 유로의 군사 원조를 제공하기로 했으며, 첨단 무기 및 물류 지원을 포함한 새로운 협정을 체결했습니다(BBC, 2025).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는 독일이 러시아산 가스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노르웨이 및 캐나다와 새로운 액화천연가스(LNG) 및 그린 수소 공급 협정을 발표했습니다(Financial Times, 2025). 외교적으로는 독일 외무장관 안날레나 베어복(Annalena Baerbock)이 중국 관리들과 회담을 열어 무역 불균형 및 인권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독일은 EU 최대 경제국으로서 중국의 기술 수입 규제와 관련하여 보다 통합된 EU 차원의 대응을 요구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AI) 분야에서의 규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협상의 결과는 향후 EU-중국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 ESG 실천 최근 독일 기업들 사이에서 "그린허싱(Greenhushing)"이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The Times, 2025). 이는 기업들이 ESG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면서도 정치적 압력을 우려해 이를 공개적으로 홍보하지 않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많은 독일 기업들이 탄소 배출 감축을 약속하고 있지만, 투자자 및 규제 당국의 반발을 우려해 공개적인 선언을 꺼리는 모습입니다. 또한, 독일 지속가능금융자문위원회(Sustainable Finance Beirat)는 중소기업(SME)들의 지속가능성 보고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IPE, 2025). 이 위원회는 과도한 보고 의무가 혁신을 저해하고 규제 준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핵심 성과 지표(KPI) 중심의 보고 체계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편, 독일 기업들은 투자자들로부터 ESG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진전을 보이라는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주주들은 기업의 지속 가능성 전략을 더욱 면밀히 검토하며, 명확한 기준과 측정 가능한 성과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독일 기업들은 ESG 요소를 핵심 비즈니스 전략에 더욱 적극적으로 통합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본 기사는 ESG코리아뉴스 독일 기자 Amitay Faibish의 '3월 독일 ESG 동향분석' 으로 원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Coios' View ④] Amitay Faibish's Analysis of German ESG Trends in March by Amitay Faibish Environmental Initiatives and Policies: In the week spanning March 24 to March 30, 2025, Germany saw developments in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domains. Germany has reaffirmed its dedication to combating climate change by allocating €100 billion from a newly established €500 billion infrastructure and defense fund towards climate action and energy transition projects (ESG News, 2025). This investment backs emissions reduction, sustainable infrastructure, and the goal of climate neutrality by 2045. Germany's renewable energy sector continues to expand. The Federal Network Agency reported a 12% increase in installed renewable energy capacity in 2024, reaching almost 190 GW (Germany Trade & Invest, 2025). This jump, led by solar and wind energy, resulted in renewable sources supplying almost 60% of Germany’s electricity, reducing coal dependency. The German government has set a target of generating 80% of its electricity from renewable sources by 2030. In addition to infrastructure investments, Germany is toughening up its environmental regulations.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stricter emissions targets for the automotiv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influencing companies to use greener technologies. Social Developments and Protests: Germany’s private sector experienced its fastest growth in ten months, largely due to increased government spending (Bloomberg, 2025). This trend has been caused by strong consumer demand, improved business confidence, and a growing job market. The service sector especially has seen substantial growth. However, social tensions continue to exist, likely caused by the political shift in the country, as hundreds protested at the Polish-German border against the deportation of migrants and asylum seekers to Poland (Notes from Poland, 2025). Many human rights organizations have criticised Germany’s deportation policies, arguing that they undermine the nation’s historical commitment to humanitarian principles. The protests also relate to the broader concerns about the EU’s asylum system. This week also saw demonstrations in Berlin and Hamburg against rising living costs, which many argue, connects to the immigration policies of the country. Protesters demanded government action on inflation, particularly the cost of housing and energy. The recent decision to cut some subsidies on electricity prices has raised public concern, with some arguing that lower-income households will be hurt the most from the economic shift. The government has defended its approach, stating that prudence is necessary to maintain long-term economic stability. Governance and Political Landscape: German politics saw major changes this week. The far-right Alternative for Germany (AfD) party doubled its parliamentary seats, demanding a stronger role in legislative processes (Reuters, 2025). Meanwhile, the Bundestag approved a constitutional amendment allowing for a major increase in spending—€400 billion on defense and €500 billion on infrastructure and green energy, reflecting Chancellor Friedrich Merz’s focus on security (Wikipedia, 2025). This deviation shows the complete departure from Germany’s traditionally careful approach to military spending. Another political development this week involved changes in the leadership of the Green Party. Following internal disputes over energy policies and coalition disagreements, the party announced a shift in its leadership structure. Analysts believe this move could impact Germany’s climate agenda, with some members advocating for a more aggressive stance on reducing fossil fuel reliance, while others push for economic effectiveness to avoid further inflationary pressure. Additionally, there is growing pressure on German corporations to enhance corporate governance standards. Regulators are suggesting greater transparency in executive salaries, board diversity, and shareholder rights. These measures are part of wider efforts to align corporate governance practices with ESG principles, ensuring that businesses operate ethically. Foreign Policy Developments: Germany’s foreign policy has experienced changes this week, specifically in its approach to European security and global trade relations. Chancellor Friedrich Merz has intensified Germany’s diplomatic efforts to strengthen European defense capabilities due to growing concerns over Russian military activity near NATO borders. In a new agreement, Germany pledged to increase its military aid to Ukraine by an additional €10 billion, providing advanced weaponry and logistical support (BBC, 2025). Beyond defense, Germany is focusing on diversifying its energy imports to reduce reliance on Russian gas. The government announced new trade agreements with Norway and Canada for liquefied natural gas (LNG) and green hydrogen (Financial Times, 2025). On the diplomatic front, Foreign Minister Annalena Baerbock hosted talks with Chinese officials to address concerns over trade imbalances and human rights issues. Germany, as the EU’s largest economy, is advocating for a more unified stance on regulating Chinese technology imports, particularly in sector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he outcome of these discussions could shape the future of EU-China relations. Corporate ESG Practices: A growing corporate trend known as "greenhushing" has emerged, where companies engage in ESG initiatives but avoid publicising them due to political pressures (The Times, 2025). While many German companies have pledged to reduce their carbon footprints, some are sceptical of making public commitments, fearing backlash from investors and regulators. Additionally, Germany’s Sustainable Finance Beirat has advocated for revisions to sustainability reporting requirements, supporting reduced data burdens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PE, 2025). The advisory group argues that excessive reporting obligations can suppress innovation and increase compliance costs, especially for smaller businesses. To address these concerns,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reporting frameworks that focus on key performance indicators rather than broad data disclosures. Corporate leaders are also facing mounting pressure from investors to demonstrate tangible progress on ESG goals. Shareholders are increasingly examining companies' sustainability strategies, demanding clearer standards and measurable outcomes. As a result, German firms are intensifying efforts to integrate ESG considerations into their core business strategies. References Bloomberg. (2025, March 24). Germany's private sector expands at fastest pace in 10 months.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3-24/germany-private-sector-expands-at-fastest-pace-in-10-months?srnd=homepage-europe Bundesregierung. (2025). Military support for Ukraine.https://www.bundesregierung.de/breg-en/news/military-support-ukraine-2054992 ESG News. (2025). Germany to allocate €100B from €500B fund to climate, energy transition.https://esgnews.com/germany-to-allocate-e100b-from-e500b-fund-to-climate-energy-transition/ Germany Trade & Invest. (2025). Green energy news – March 2025.https://www.gtai.de/en/invest/industries/energy/green-energy-news-march-2025-1882302 IPE. (2025). Germany’s Sustainable Finance Beirat pushes to amend SFDR, CSRD.https://www.ipe.com/news/germanys-sustainable-finance-beirat-pushes-to-amend-sfdr-csrd/10128813.article Natural Resources Canada. (2025). Joint declaration of int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Canada and the Governmen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establishing the Canada-Germany Hydrogen Alliance.https://natural-resources.canada.ca/climate-change/joint-declaration-intent-between-government-canada-government-federal-republic-germany-establishing-canada-germany-hydrogen-alliance Notes from Poland. (2025, March 24). Hundreds protest on border against German migrant deportations to Poland.https://notesfrompoland.com/2025/03/24/hundreds-protest-on-border-against-german-migrant-deportations-to-poland/ Reuters. (2025, March 24). Emboldened, unrepentant: Germany’s far-right poised for expanded parliamentary role. https://www.reuters.com/world/europe/emboldened-unrepentant-germanys-far-right-poised-expanded-parliamentary-role-2025-03-24/ Reuters. (2025, March 24). Germany says UK lifts import ban imposed after German foot-and-mouth case. https://www.reuters.com/world/uk/germany-says-uk-lifts-import-ban-imposed-after-german-foot-and-mouth-case-2025-03-24/ The Times. (2025). The rise of greenhushing: Embrace ESG but don’t talk about it.https://www.thetimes.co.uk/article/the-rise-of-greenhushing-embrace-esg-but-dont-talk-about-it-txv2lwpp2 Wikipedia. (2025). Friedrich Merz.https://en.wikipedia.org/wiki/Friedrich_Merz Energy News Pro. (2025). Norway nationalizes its pipeline network to secure energy exports.https://energynews.pro/en/norway-nationalizes-its-pipeline-network-to-secure-energy-exports/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4-04
  • [코이오스의 뷰 ③] 영농형 태양광 발전의 접근 방식...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
    2022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우리 삶에서 공기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라고 선언했다 (WHO, 2022). 이 선언문은 주변 및 가정의 대기 오염으로 인한 매년 670만 명의 조기 사망자가 발생의 심각성을 포함하고 있기도 하다 (WHO, 2022). 오늘날 인류에 대한 명확한 환경의 요구는 단순히 이 위기를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후 변화를 촉발하는 만연한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는 가운데 미국의 한 주 캘리포니아는 정책을 발표했다.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캘리포니아는 온실가스 배출량 85%와 석유 사용 94% 줄일 것이다”라고 약속했다 (‌Governor Gavin Newsom, 2022). 이것은 단순한 정책이 아니다. 공기를 정화하고, 공동체를 보호하며, 더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패러다임으로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약속이다. 태양전지판의 원리 및 작동 다양한 재생 에너지 선택지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기술은 태양광이다. 태양광 에너지는 청정 에너지원으로서 항상 풍부한 햇빛을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또한 전통적인 화석연료에서 나오는 배출물로 부터 자유롭다. 그 핵심에는 태양 전지 내의 광전 효과에 있다. 태양 전지는 패널이 햇빛에 닿으면 생성되며, 전자를 방출하여 전기를 만들어낸다. 이 섬세한 전자들은 연결되어 패널을 형성하며, 햇빛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전력 흐름으로 전환한다 (National Grid, 2023). 영농형 태양광: 태양광과 농지 이러한 태양전지판은 광범위한 설치 공간을 필요로하며 그 공간을 어떻게 수용 할 것인지가 문제이다. 답은 충분한 공간과 풍부한 햇빛이 있고 에너지 비용 절감이 필요한 광활한 농지에 달려있다. 농부들은 태양 에너지의 경제적 잠제력을 보기 시작했다. 태양광 패널의 초기 설치비용은 막대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한 비용 절감을 약속한다. 만약 한 달의 에너지 비용이 150달러로 한화 약 23만원이면 30년 동안 65,000달러 한화 약 9,600만 원의 전기 요금을 상쇄할 수 있다 ‌(Walker, E., & Langone, 2023). 농업과 태양광 기술의 융합은 영농형 태양광 발전이라는 개념을 탄생시켰다. 농지 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사람들은 태양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토지의 농업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식물들은 각기 다른 양의 광합성을 필요로 하며, 많은 식물은 부분적인 그림자가 있음에도 번성할 수 있고 패널에서 수확한 남은 빛으로 전기로 바꿔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쌀은 70%의 햇빛으로도 자랄 수 있으며 나머지는 에너지 생산에 할당할 수 있다 (N-Sci Technologies, 2019). 영농형 태양광의 긍정적인 부분 경제적 이점은 정점에 달한다. 100 에이커, 약 40만 제곱미터 규모의 농장에서 태양광 에너지와 농업에 대한 별도의 할당은 각각 100%의 수익을 창출한다. 그러나 이 두 가지를 같은 땅에 통합하면 생산성은 단순히 합산되는 것이 아니다. 각각 80%, 각 부분의 합인 160%를 초과하는 총 수확량을 제공한다 (Ayers, 2022). 농부들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잉여 전기를 생산하고 잠재적으로 판매함으로써 이익을 얻는다. 게다가 태양광 패널은 농부들에게 가장 큰 운영 비용 중 하나인 전기를 제공한다. 채소 냉각기부터 작물 처리기까지 모든 것에 전력을 공급하고 패널로부터 공급된 전기는 농업 경제에 한 획을 그을 수 있을 것이다. 경제적인 이득을 넘어서 영농형 태양광은 작물 품질까지 개선한다. 전통적인 지상 설치 패널과 달리, 영농형 패널은 그늘을 최소화하면서 30% 미만의 충분한 햇빛 투과율을 보장한다 (Stawarz, 2024). 패널의 상승된 구조물은 작물에게 유익한 그늘을 제공하며, 특정 작물의 경우 온실 효과를 모방하여 성장 조건을 향상시킨다. 태양광 패널의 그늘은 토양에서 물이 증발하는 것을 줄여 가뭄을 줄이고 물 절약에 기여한다. 보호 장벽 역할을 하는 패널은 과도한 햇빛, 서리, 강풍 등 극한 날씨로부터 보호하여 변동성이 큰 기후로부터 작물의 저항성을 높인다 (Ficazzola, 2018). 영농형 태양광의 부정적인 부분 영농형 태양광의 장점에 집중하고 있지만 관련된 문제들은 여전히 남아 있다.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도입하면 식물과 영양이 풍부한 토지에 햇빛 공급량이 줄어들어 농작물 수확량이 감소할 수 있다. 21세기에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되는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무시할 수 없다 (Ritchie, 2023). 자세한 계획 없이 영농형 태양광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면 식량 공급에 큰 영향을 미쳐 이미 전 세계 수백만 명이 직면한 심각한 식량부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농업은 이미 기후 변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캘리포니아 식품 농업부는 관개 농지가 10% 감소할 때마다 752,000에이커가 줄어든다고 보고했다. 2022년에는 쌀 재배가 절반으로 줄었다 (Keavy, 2022). 우리는 지금 줄어드는 농업 환경의 벼랑 끝에 서 있다. 그럴수록 식량과 에너지 생산을 위한 토지 간의 균형은 점점 더 불안해지고 있다. 또한 농작물 수확량 감소를 고려하여 태양광 발전의 효율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태양 에너지가 에너지 수요를 보완할 뿐만 아니라 넘어서서 화석 연료를 완전히 대체해 버리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더 복잡하다. 태양광 효율은 기상 조건, 먹구름, 변동하는 온도에 취약하다. 연구에 따르면 흐린 날에는 태양광 패널이 용량의 10~30%만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cazzola, 2018). 게다가 최적 온도 이상의 모든 온도에서는 효율이 0.3%에서 0.5% 감소하여 태양광 발전의 현실을 깨닫게 한다 (Palmetto, 2023). 태양 에너지는 다른 재생 가능 에너지원보다 매개변수가 적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생산된 순 에너지가 우리의 필요에 미치지 못하면 태양열에 대한 완전한 의존은 여전히 불가능하다. 태양광 발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리적 현실과 맞서야 하고 완벽한 조건을 찾는것은 극히 드물다. 영농형 태양광의 주의할 점 영농형 태양광에 대한 쟁점은 농부들의 경제적, 환경적 이익과 식량 생산의 잠재력 여파 및 태양광 기술의 효율성이다.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식량 보존을 위협해서는 안된다. 대체 재생 에너지원은 있지만, 농업의 근본적인 역할을 대체할 수는 없다. 태양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농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경제적으로나 환경적으로나 농부들에게 매력적이다. 이러한 이익은 명백하지만, 식량 보존도 중요하다. 농업은 다가오는 식량 위기를 대비하기 위해 비옥한 토지를 농업에 우선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기로에 서 있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가 97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농촌 공간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이 문제의 시급성은 더욱더 강조된다 (Ritchie, 2023). 균형있는 접근 이제 지혜로운 선택이 나타나야 할 때이다. 농부와 목장주는 미래 식량 확보의 열쇠를 쥐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간단한 결정이 아니다. 각 농업인은 태양 에너지의 즉각적인 재정적 이익을 수용하거나 계속 증가하는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 농업의 중요성을 지켜야 하는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다. 농부들과 정책 입안자들은 이 결정을 깊이 고민해야 한다. 우리는 에너지와 식량 보존의 필요성을 조합시키는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 우리가 영농형 태양 발전을 받아들인다면 우리 세대에 필요한 식량 보전에 대해 책임을 지고 해결해야 한다. * 본 기사는 ESG코리아뉴스 미국 학생기자 Seungeun Lee(Julia Lee)의 영문 오피니언으로 원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Approaches to Agricultural Solar Power: Positives and Negatives By Seungeun Lee(Julia Lee) In the year 2022, a sobering proclamation was issu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hat “Nothing is more essential to life than air (WHO, 2022). Yet, it is this very essence of life that is under siege by ambient and household air pollution, culminating 6.7 million premature deaths annually (WHO, 2022). Today, the clarion call for humanity is not just to acknowledge this crisis but to actively engage in resolving the pervasive issue of pollution which precipitates climate change. As the climate crisis intensifies, particularly in states like California in the United States, leadership is emerging. The Governor’s office has announced that “California will slash greenhouse gas emissions by 85% and cut gas consumption by 94% by 2045 (‌Governor Gavin Newsom, 2022). This is not merely a policy update; this is a commitment to purifying our air, protecting our communities, and hastening the transition to a cleaner, more sustainable energy paradigm. Solar Panel Operations Among various renewable energy options, solar photovoltaic technology shines with promise. This clean energy source, tapping into the daily bounty of sun, offers a sustainable solution. It is free from the emissions that plague traditional fossil fuels. At its core, the technology relies on the photoelectric effect within solar cells. Solar cells are created when the panels are struck by sunlight, and generate electricity by releasing electrons. These delicate cells are intricately linked to form robust panels, collectively harnessing and converting sunlight into a stable flow of electric power (National Grid, 2023). Agrivoltaics: Solar Panels With Farmland This has transitioned into the question, how do people accommodate the expansive footprint required by solar panels? The answer has now fallen on the vast stretches of farmland, where sufficient space, abundant sunlight, and the imperative to reduce energy costs converge. Farmers are beginning to see the untapped economic potential of solar energy.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though initially capital intensive, promises substantial saving over time. Imagine offsetting a monthly electricity bill of 150 dollars with a cumulative saving of 65,000 dollars over three decades ‌(Walker, E., & Langone, 2023). This convergence of agriculture and photovoltaic technology has given rise to the concept of agrivoltaics. By integrating solar panels above the farmland, people can harness the sun for energy, but also can maintain the land’s agricultural productivity simultaneously. Each plant species has its unique photosynthetic needs, yet many can flourish even with partial shading, turning excess light from solar panels into valuable electricity. For instance, rice fields can thrive with 70% sunlight, allocating the remainder to energy production (N-Sci Technologies, 2019). Bright Approach To Agrivotlaics The economic benefits are indeed striking. On a hypothetical 100-acre farm, separate allocations for solar energy and agriculture yield a 100% return for each. Yet, when these two are integrated on the same land, the productivity does not merely add up; it multiplies, offering a combined yield that exceeds the sum of its parts which is 160%, 80%for each part (Ayers, 2022). Farmers gain not just by growing crops, but also by generating and potentially selling surplus electricity. Moreover, solar panels could free farmers from one of their largest operational expenses, electricity. Powering everything from vegetable coolers to crop treatments, free electricity from solar panels could revolutionize farm economics. Beyond the economic, agrivoltaics systems can also bolster crop quality. Unlike traditional ground-mounted panels, agrivoltaics installations minimize shading while ensuring adequate sunlight penetration less than 30% (Stawarz, 2024). Elevated structures provide beneficial shade, which for certain crops can simulate a greenhouse effect, enhancing growth conditions. Shading from solar panels can also contribute to water conservation, mitigating drought impact and reducing evaporation from the soil. Acting as a protective barrier, these panels guard against extreme weather, from excessive sunlight to frost and strong winds, potentially enhancing crop resilience in volatile climates (Ficazzola, 2018). Dim Approach to Agirvoltaics Yet, as the virtues of agrivotlaics are extolled, the associated challenges are expected. The introduction of solar panels on farmland reduces the light available to plants and nutrient rich land, potentially decreasing crop yields. With the growing population that is projected to peak this century, the escalating demand for food cannot be ignored (Ritchie, 2023). Continuous expansion of agrivoltaic installation, without strategic planning, could significantly impact our food supply, exacerbating the already dire food insecurity faced by millions worldwide. Agriculture is already grappling with the repercussions of climate change. The California Department of Food and Agriculture reports a 10% decrease in irrigated farmland, translating to 752,000 acres less arable land. In 2022 alone, rice cultivation was halved (Keavy, 2022). As we stand on the precipice of shrinking agricultural landscape, the balance between land for food production and energy generation becomes ever more precarious. Furthermore, the efficiency of solar power must be scrutinized in the light of crop yield reductions. The ideal scenario would be one where solar energy not only complements but exceeds our energy needs, allowing us to forsake fossil fuels entirely. Yet, the reality is more complex. Solar efficiency is susceptible to weather conditions, cloud cover, and fluctuating temperatures. Studies have shown that on overcast days, solar panels operate at merely 10% to 30% of their capacity (Ficazzola, 2018). Additionally, for every degree above the optimal temperature, efficiency declines slightly by 0.3% to 0.5%, underscoring the nuanced nature of solar power generation (Palmetto, 2023). It is true that solar energy demands fewer conditional parameters than other renewable sources. However, if the net energy produced falls short of our needs, complete reliance on solar power remains unfeasible. The quest to maximize solar efficiency must contend with geographical realities, often finding the perfect confluence of factors to be a rarity. Caution Of Agrivoltaics The discourse on agrivoltaics solar panels is thus nuanced, comparing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for farmers against the potential aftermath for food production and the efficiency of solar technology. While the transition to renewable energy is imperative, it must not compromise food security. There are alternative renewable energy sources, but none can substitute the fundamental role of agriculture. The inclination to maximize farmland for harvesting solar energy is appealing, both economically and environmentally.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are evident, yet pale in comparison to the food security that such a shift entails. The agricultural sector is at a crossroads, where the utilization of fertile lands for food must be prioritized to avert a looming crisis. With the global population expected to reach 9.7 billion by 2050, and rural spaces dwindling, the urgency of this challenge cannot be overstated (Ritchie, 2023). Balanced approach This is the point where collective wisdom must prevail. Farmers and ranchers hold the key to securing our food future. However, this is not a simple decision. Each agriculturist faces a personal dilemma: to embrace the immediate financial allure of solar energy or to uphold the vital tradition of farming to feed an ever-growing population. Farmers and policy makers should contemplate this choice deeply. We must seek a balanced approach, one that harmonizes our energy aspirations with the immutable need for sustenance. It is a balance that must be struck with foresight and responsibility, ensuring that as we embrace the sun’s power, we do not cast a shadow over the essential nourishment of the generation of our communities to come. References Ayers, Andrew. (2022). Solar Energy and Groundwater in the San Joaquin Valley. (n.d.). Public Policy Institute of California. https://www.ppic.org/publication/solar-energy-and-groundwater-in-the-san-joaquin-valley/ Ficazzola, T. (2018). What Are The Effects of Weather on Solar Panels and Their Production? Solar Panel Installation in Staten Island & New Jersey. https://www.sisolarco.com/effects-weather-solar-panels-production/ Governor Gavin Newsom. (2022). California Releases World’s First Plan to Achieve Net Zero Carbon Pollution. California Governor. https://www.gov.ca.gov/2022/11/16/california-releases-worlds-first-plan-to-achieve-net-zero-carbon-pollution/ Keavy, M. (2022). New study says California’s farmland is shrinking due to years-long severe drought. (n.d.). Www.cbsnews.com. https://www.cbsnews.com/sacramento/news/california-farmland-shrinking-years-long-severe-drought/ ‌‌National Grid. (2023). How does solar power work? | National Grid Group. www.nationalgrid.com; National Grid. https://www.nationalgrid.com/stories/energy-explained/how-does-solar-power-work N-Sci Technologies. (n.d.). (2019). Agrivoltaics: What is it and how does it work? https://nsci.ca/2019/12/05/agrivoltaics-what-is-it-and-how-does-it-work/ ‌Palmetto. (2023). Solar Panel Temperature Range Explained. Palmetto.com; Palmetto. https://palmetto.com/solar/solar-panel-temperature-range-explained ‌Ritchie, H. et al(2023). Our World in Data. Population Growth. https://ourworldindata.org/population-growth Ruiz, A. (2022, February 11). 35 Latest Solar Power Statistics, Charts & Data [2022]. Theroundup.org. https://theroundup.org/solar-power-statistics/ Stawarz, S. (2024). Agrivoltaics: A New Kind of Double Harvesting - The Conservation Foundation. The Conservation Foundation -. https://theconservationfoundation.org/agrivoltaics/ ‌USDA Climate Hub. (2020). “Agrivoltaics: Coming Soon to a Farm near You?” www.climatehubs.usda.gov, www.climatehubs.usda.gov/hubs/northeast/topic/agrivoltaics-coming-soon-farm-near-you ‌Walker, E., & Langone, A. (2023). Solar Savings by State: How Much do Solar Panels Save? EnergySage. https://www.energysage.com/solar/much-solar-panels-save/ WHO. (2022). “Household Air Pollution.” Www.who.int, 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household-air-pollution-and-health#:~:text=The%20combined%20effects%20of%20ambient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3-23
  • [양재희의 아이코닉건축①] 부르즈 할리파(Burj Khalifa), 인간의 한계를 넘어선 초고층 아이코닉
    인간의 야망은 예로부터 하늘을 찌를 듯한 높이 경쟁에 두었다. 21세기 건축 기술의 정점을 보여주는 아이코닉 건축 부르즈 할리파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의 스카이라인을 압도하며 전 세계인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높이 828m, 163층 규모의 이 거대한 건축물은 사막의 땅에 인간의 땀방울이 빚어낸 놀라운 도전의 결실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존재이다. 사막의 꽃에서 발견한 기하학적인 디자인은 '히메노칼리스'에서 영감을 받았다. 꽃잎이 하늘을 향해 뻗어 나가는 듯한 Y자형 단면은 강렬한 바람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나선형 비대칭 형태는 건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독창적인 아름다움을 선물한다. 이슬람 건축 양식의 요소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디자인은 두바이의 문화적 정체성을 보여준다. 미학과 현대 공학의 원리를 절묘하게 결합한 세계적인 랜드마크로 위상을 떨치고 있다. 부르즈 할리파는 기술과 예술의 조화를 이룬다. 세계 최고 높이의 건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첨단 기술의 집약이 필수적이다. 초고강도 콘크리트와 첨단 강철 구조를 사용하여 극한의 환경에서도 안정성 유지를 한다. 또한, 초고속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수백 미터 높이의 전망대까지 단 1분여 만에 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건물 외벽에 설치된 첨단 냉방 시스템은 사막의 뜨거운 열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한다. 두바이의 꿈을 현실로 실현하여 경제성장과 발전을 상징하는 아이코닉 건축이다. 두바이는 진주 조개잡이로 생계를 이어가던 가난한 어촌 마을이었다. 유전이 발견되며 경제적 부를 창출하며 중동 금융의 허브가 되었다. 경제적 기반이 마련된 두바이는 석유 중심의 경제에서 벗어나는 시기를 대비하며 관광과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고자 했다. 두바이 정부는 부르즈 할리파를 통해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투자와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아이코닉 건축은 세계적인 도시로 발돋움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부르즈 할리파는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인간의 의지와 창의력을 보여주는 상징이 되었다. 지속 가능한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가는 부르즈 할리파는 건축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어 초고층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친환경 건축 기술, 스마트 빌딩 시스템, 3D 프린팅 기술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더욱 혁신적인 건축물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르즈 할리파는 초고층 건축의 미래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영감을 제공하며 인간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건축의 무한한 잠재력을 보여준다. 두바이의 번영과 야망을 실현한 아이코닉 건축 부르즈 할리파는 초고층 건축의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도시와 국가의 이미지를 세계 최초, 세계 최고 높은 건축을 통해 형성하고 경제적 가치 창출한다. 첨단 기술과 예술적 감각을 융합한 이 건축물은 두바이의 자존감이며 전 세계인의 마음속에 깊은 감동과 꿈을 담는다. 광활한 사막에 신기루처럼 탄생한 부르즈 할리파는 초고층 건축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며 끊임없이 높이의 도전을 받고 있다. 독창적인 창의력과 첨단 기술력이 결합해 인류가 추구하고자 하는 열망을 초고층 아이코닉 건축에 담아 놀라운 미래를 대비하게 한다. 덧붙이는 글 양재희 / Yang, Jae Hee 국민대학교 테크노전문대학원 건축디자인학과 석사, 동 대학원 건축 디자인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학위 논문은 “아이코닉 건축의 사회적 인터페이스 특성 연구”이며, 현재는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아이코닉 건축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며 더 나아가 사회, 문화, 예술 분야에 확장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환경 및 도시 재생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사단법인 한국ESG위원회 아동 인권 위원장이다. 교육 현장에 ESG 도입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기획하고 있다. 현재, 행복예감 출판사 대표이며 책 집필과 건축 디자인, ESG 컨설팅과 성공하는 CEO를 대상으로 퍼스널 브랜딩을 해주고 있다. 저서로는 「아이코닉 건축」, 「미래의 생존 전략 ESG」 등이 있다.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3-15
  • [코이오스의 뷰 ②] 청년 주도 조직의 부상: 젊은 기업가들이 변화시키는 글로벌 환경
    경험과 기업 권력이 혁신과 동의어로 여겨지는 세상에서, 새로운 세대의 젊은 비즈니스 리더들이 기존의 규칙을 다시 쓰고 있습니다. 교육, 기술,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청년 주도 기업들은 장벽을 허물며 나이와 무관하게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 소셜 미디어, 그리고 개방된 글로벌 시장을 자유롭게 활용하면서, 젊은 리더들은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기업가 정신과 자선 활동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젊은 리더들이 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입니다. 전통적인 기업이 계층 구조와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것과 달리, 청년 주도 조직들은 유연성, 혁신, 그리고 자신이 속한 커뮤니티와의 강한 연계를 기반으로 설립됩니다. 기후 변화, 교육 불평등, 자본 접근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젊은 기업가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현실화하고 있으며, 이는 과거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규모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업가 정신의 새로운 시대 청년 기업가 정신의 발달은 디지털 혁명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전 세대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무한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오늘날의 젊은 리더들은 적은 자본 또는 전혀 자본 없이도 기업이나 비영리 조직을 창업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마케팅, 크라우드펀딩, 그리고 기부금 모금과 같은 도구를 활용해 국경을 초월한 글로벌 확산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소셜 엔터프라이즈(사회적 기업)’의 급부상입니다. 수익 창출보다 사회적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이들 기업은 빈곤, 교육, 환경 문제 등을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의 성공은 단순한 경향이 아니라, 새로운 세대가 단기적인 이익보다 윤리적 경영과 지속 가능성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문화적 변화의 증거입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주도하는 에듀테크(교육 기술) 기업의 등장으로 교육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주로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저렴하거나 무료로 교육을 제공하여, 교육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창의적인 기술과 사명 중심의 사고방식을 결합하여, 이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교육을 개방하고 기업 리더십의 모델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고정관념을 깨고, 도전에 맞서는 젊은 기업가들 청년 주도 조직이 성공을 거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극복해야 할 큰 장애물이 존재합니다. 그중 하나는 신뢰의 문제입니다. 젊은 기업가들은 투자자, 소비자, 정책 결정자들의 신뢰를 얻기가 쉽지 않습니다. 전통적으로 중년 이상의 전문가들이 기업과 비영리 단체를 주도해왔기 때문에, 자본과 기관 자원에 접근하는 것은 젊은 리더들에게 도전 과제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점차 변화하고 있습니다. 청년 조직들이 지속적인 성과를 내면서, 기관과 투자자들은 점점 더 이들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벤처 캐피털(VC) 기업들은 점점 더 젊은 창업가들에게 투자하고 있으며, 혁신에 나이가 상관없음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다국적 기관들도 청년 조직의 역할을 인정하며, 보조금과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젊은 기업가들이 직면하는 또 다른 주요 도전 과제는 ‘일과 삶의 균형’입니다. 대부분의 청년 창업가는 학생이거나 최근 졸업한 상태에서 사업을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학업과 기업 활동을 동시에 병행해야 합니다. 기존의 비즈니스 리더들처럼 풍부한 금융 지원이나 인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어려운 환경에서도 살아남고 있는 것은 이들의 강한 의지와 끈기를 잘 보여줍니다. 공동체와 협업의 힘 청년 조직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협력적 성격’입니다. 전통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경쟁 중심적이라면, 청년 기업가들은 오히려 협업과 파트너십을 통해 더 큰 영향을 만들고자 합니다. 소셜 미디어는 이러한 협력을 촉진하는 핵심 도구가 되어, 전 세계의 젊은 리더들이 서로 소통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 정신은 특히 글로벌 운동과 비영리 조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10대 기후 운동가들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전 세계적으로 캠페인을 조직하고, 실제 정책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또한, 청년 중심의 교육 이니셔티브는 전통적인 교육 기관과 협력하여 장학금, 멘토링, 직업 개발 기회를 제공하는 등 기존 시스템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청년 기업가들을 위한 네트워킹 컨퍼런스, 온라인 포럼,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들도 이러한 협력적인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큐베이터(창업 보육 기관)는 멘토링, 자본, 전략적 방향을 제공하여 청년 리더들이 산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금융 혁신과 청년 창업가들의 활약 가장 혁신적인 산업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는 분야가 바로 ‘핀테크(FinTech, 금융 기술)’입니다. 기존 은행 시스템이 젊은 소비자들에게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학생 창업가들은 새로운 금융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탈중앙화 금융(DeFi)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금융 포용성 확대가 눈에 띕니다. 젊은 기업가들은 블록체인을 활용해 은행 시스템이 취약한 지역에서도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금융 소외가 경제 성장의 주요 걸림돌이 되는 개발도상국에서 특히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청년 창업가들은 금융 교육 분야에서도 변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투자, 신용, 저축 등에 대한 일반적인 무지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앱과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금융 지식을 쉽게 전달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게임화된 학습 방식, 실시간 시장 데이터 제공 등의 기능을 통해, 금융 교육이 더욱 접근 가능하고 실용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청년 기업가들 청년 기업가들의 부상은 단기적인 트렌드가 아니라, 기업가 정신과 비영리 활동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재정의입니다. 점점 더 많은 젊은 리더들이 기업 경계를 허물며, 혁신적이고 포용적이며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미래를 만들고 있습니다. 정부, 투자자, 기관들은 젊은 창업가들이 미래의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프라와 자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더 많은 자금 지원, 멘토링, 청년 친화적인 정책이 마련될수록, 더 빠른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청년 창업가들이 만들어 가는 성과는 나이가 리더십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와 끈기, 그리고 도전에 대한 열린 자세가 더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줍니다. 오늘날의 청년 창업가들은 단순히 사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본 기사는 ESG코리아뉴스 미국 학생기자 James Oh의 영문 오피니언으로 원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The Rise of Youth-Led Organizations: How Young Entrepreneurs Are Changing the Global Landscape Author: James Oh In a world where experience and corporate power are synonymous with innovation, a new generation of young business leaders is redefining the rulebook. From education to technology and finance, young-led businesses are shattering barriers, proving that age is not a factor when it comes to making a difference. With digital technology, social media, and an open global marketplace at their fingertips, young leaders are reshaping the face of entrepreneurship and philanthropy in ways unthinkable a decade ago. The most sensational aspect of this movement is the ability of young leaders to use technology to create solutions to significant social issues. Unlike traditional businesses founded on hierarchical structure and years of experience, youth organizations are founded on adaptability, innovation, and strong identification with the constituents they serve. From efforts to address climate change, educational inequality, or access to capital, these young businesspeople are bringing ideas to life on a scale never previously conceived. A New Era of Digital Entrepreneurship The development of youth entrepreneurship owes much to the digital revolution. With unlimited access to resources unavailable to previous generations, young leaders of today can start businesse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with minimal or zero capital. Online marketing, crowdfunding, and fundraising have allowed these young entrepreneurs to share their work across borders, with a global reach. One of the strongest evidence of this is the rise of social enterprises—businesses that are mission-driven instead of profit-driven. More and more young entrepreneurs are choosing to launch businesses that address problems directly, such as poverty,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instead of for profit. The success of these businesses is a sign of a broader cultural shift, one in which the next generation is more concerned with ethical business and long-term viability than short-term profit. For instance, the emergence of student-led ed-tech firms has transformed the access to education among youth. The majority of these firms provide affordable or free courses to students from disadvantaged communities, bridging the divide between advantaged and disadvantaged learners. Through the application of creative technology coupled with a mission-driven mindset, these firms are opening up education and transforming the model of what it takes to be a business leader. Shattering Stereotypes and Overcoming Obstacles Although they succeed, young organizations are faced with tremendous challenges, particularly with credibility. Young business people struggle to gain the trust of investors, consumers, and policymakers who will naturally relate youth to lack of experience. Veteran professionals of middle age have long dominated the conventional business and nonprofit paradigms, and this has been challenging young leaders to access capital and institutional assets. But that is changing. As more youth organizations deliver, institutions and investors are waking up and taking heed. Venture capital firms, for example, are investing increasingly in young people's businesses, aware that innovation is ageless. Governments and multinational institutions are also becoming aware of the role of youth organizations, offering grants and mentorship schemes to help them build. The second major challenge young entrepreneurs have is the work-life balance. They are mostly students or recent graduates who must balance entrepreneurial life and academic life. Unlike the traditional business gurus, they do not typically have the financial backing and networks that come with experience. Yet the fact that they are able to survive under such conditions speaks volumes about their willpower and resilience. The Power of Community and Cooperation One of the most defining aspects of youth organizations is that they are collaborative in nature. Whereas other business models are competitive, most young entrepreneurs are actually seeking partnerships and collaborations in order to create a bigger impact. Social media platforms have been at the forefront of this, where young leaders from around the world can talk to each other, share ideas, and collaborate on projects. This sense of cooperation is strongest in global activism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een climate activists, for example, have mobilized on social media to coordinate global campaigns that have led to real policy reforms. Similarly, youth-oriented education initiatives have a propensity to cooperate with traditional institutions to extend their reach, providing mentorship schemes, scholarship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o students who would otherwise remain inaccessible. Networking conferences, online forums, and accelerator programs specifically designed for young entrepreneurs have also contributed to this collaborative environment. Incubators also offer mentorship, capital, and strategic guidance to numerous youth organizations. These services not only assist young leaders in developing their ideas but also empower them to enter challenging industries. Technology and Inclusivity of Finance: Young Entrepreneurs in FinTech Perhaps one of the most revolutionary industries where young founders are basking in their day in the sun is financial technology or FinTech. Where traditional bank systems repeatedly fall short for young consumers, students have filled in. They are creating innovative methods of investing, banking, and financial knowledge, particularly for underserved communities. Many of them aim at decentralized finance (DeFi) and blockchain technology, which promote financial inclusion. Young entrepreneurs apply blockchain to build systems where rural communities can enjoy bank services without necessarily going through traditional financial systems. These innovations gain their greatest appeal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financial exclusion is one of the largest growth limitations. Young leaders are also tackling financial literacy through mobile apps and digital platforms. Realizing that there is general ignorance of investing, credit, and savings, these young entrepreneurs are designing digital platforms to educate and empower individuals to take care of their financial lives. Through interactive lessons, games, and current market data, financial education is now becoming interactive and accessible. Looking Ahead: The Young Entrepreneur of Tomorrow The rise of entrepreneurship among youngsters is not temporary but is instead a complete reevaluation of entrepreneurship and how not-for-profits approach their work. The increased number of youngsters in command is breaking entrepreneurship boundaries one by one. The future of entrepreneurship is going to be inclusive, innovative, and socially responsible, courtesy of young entrepreneurs. As governments, investors, and institutions see more and more the potential of young people to be future leaders, they should ensure they offer them infrastructure and resources to help them grow. This means increased funding, mentorship, and policy systems that encourage young entrepreneurs to grow. The earlier this kind of leadership is adopted, the earlier transformative change can take place. Ultimately, the achievements of young people in their own ventures confirm that years of age do not necessarily establish one's leadership but courage, persistence, and readiness to take gambles. Today's young entrepreneurs are not simply establishing ventures—these individuals are constructing futures. References Britten, M., & Deane-Ryan, D. (2020). Global Scan of Youth-led Organisations Active on Climate and/or Biodiversity and Youth-supporting Partners Written by. https://www.rhfamilyfoundationglobal.org/media/RHFF_2020_Global_Scan_of_Youth_Led_Organisations_Exec_Sum_Full_Version.pdf Gavin, A., & World Economic Forum. (2024, August 12). Meet 3 social innovators using tech to empower the (UNCDF). (n.d.). Www.uncdf.org. https://www.uncdf.org/article/5631/youth-entrepreneurs-engaging-in- the-digital-economy-the-next-generation Youth Power drives youth-led initiatives to tackle pressing global problems. (2024). SOS Children’s Villages. https://www.sos-childrensvillages.org/news/youth-power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3-12
  • [윤재은 칼럼] ‘리좀(Rhizome)’과 생성형 사회
    리좀(Rhizome)은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펠릭스 가타리(Félix Guattari)가 《천 개의 고원(Mille Plateaux)》(1980)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전통적 위계질서에 반대되는 비위계적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리좀은 시작도 끝도 없고, 상/하의 위계질서도 존재하지 않으며, 우열도 가릴 수 없다. 들뢰즈와 카타리는 현대사회의 수목 구조를 해체하면서 동시에 해체된 세상을 리좀으로 연결하는 노마드적 시선을 제시했다. 리좀은 땅속줄기를 뜻하는 말로 잔디의 뿌리에서 길게 연결된 줄기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말한다. 리좀은 세계를 구성하는 수많은 객체들이 고원(Plateau)과 연결되어 하나의 리좀을 형성한다. 고원(Plateau)은 비교적 평탄한 땅의 고지대를 뜻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다. 세계의 모든 존재는 고원의 연결에 따라 서로의 정체성을 달리하며 연결접속의 반복을 통해 세계를 형성한다. 서양 철학은 수목 구조를 모델로 삼아 왔다. 수목 구조란? 뿌리(근본) → 줄기(체계) → 가지(분류)로 이어지는 위계적 질서로 2,500년 동안 서양 사고의 기본모델이었다. 수목 구조는 중심이 존재하며, 선형적이고 질서적인 사고방식을 중시한다. 하지만 리좀(Rhizome)은 비위계적, 탈중심적, 다원적, 비선형적 사고를 의미한다. 리좀처럼 연결된 사회는 중심 없이 네트워크처럼 연결되어 비선형적 관계를 형성한다. 리좀의 비선형성은 땅속에 묻혀 있는 구근식물의 뿌리줄기처럼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연결되며, 분절되더라도 또다시 새로운 모형으로 결합, 생성된다. 이러한 리좀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탈중심(Decentralization)적이다. 리좀은 탈중심적이다. 즉, 하나의 중심이 존재하지 않으며, 어디서든 출발하고 어디로든 연결될 수 있는 구조이다. 특정한 권위나 핵심 개념에 종속되지 않고 중심이 없다. 모든 요소는 수평적으로 연결되며 비위계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경로와 방식으로 확산되어 유동적이며 다원적이다. 서로의 객체는 끊어져도 다시 연결되며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리좀이 탈중심적이라는 것은 고정된 중심 없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확장되기 때문이다. 탈중심적 리좀 개념은 디지털 시대의 사회구조를 가장 잘 대변하는 말이다. 과거 수목 구조 체계는 상/하의 관계가 명확하지만 리좀 구조는 수직적 위계보다 수평적 관계를 중시며 탈중심적이다. 리좀의 탈중심성과 국가의 정치적 연관성은 중앙집권적 권력 구조에서 벗어나 지방 분권, 수평적 거버넌스, 시민 참여형 민주주의로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경제적 탈중심성은 대기업 중심의 독점 경제에서 벗어나 공유경제, 분산형 경제시스템을 통해 다양하게 확산될 수 있다. 특히 블록체인과 지역화폐 등이 가능하다. 산업적 탈중심성은 전통적 대량 생산 체제에서 벗어나 네트워크 기반의 창조 산업, 스타트업, 탈중앙화된 협업 구조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리좀적 탈중심성은 기존의 위계적이고 중앙집중적인 체계를 해체하고, 분산·연결·자율성을 기반으로 한 유동적이고 창조적인 사회구조를 만들어 갈 수 있다. 둘째, 비선형(Nonlinear)적 구조이다. 리좀은 시작과 끝이 정해져 있지 않고 비선형 구조(NonLinear)를 가지고 있다. 비선형 구조는 선형 구조와 달리 여러 개의 자료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구조이다. 선형 구조(Linear Structure)는 A-B-C처럼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한 방향을 향한다. 특히 시간 순서에 따른 이야기나 계보, 명령체계를 가진다. 하지만 비선형 구조(Nonlinear Structure)는 일정한 순서나 방향 없이 다중적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특히 인터넷에서 웹페이지는 하나의 경로가 아닌 다양한 링크를 통해 이동 가능하다. 하이퍼텍스트처럼 문서를 선형적으로 읽을 필요 없이 원하는 정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비선형 구조에서는 특정한 먹이사슬이 아니라 다층적 상호작용에 의해 생태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리좀이 비선형 구조인 것은 위계 없이 다양한 개념들이 서로 연결되어 발전하기 때문이다. 리좀의 비선형성과 국가의 정치적 연관성은 단일한 권력 계층이 아니라, 다원적이고 복합적인 이해관계가 공존하는 네트워크형 정치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직접 민주주의와 시민 참여 플랫폼을 만들 수 있다. 경제적 비선형성은 일방향적 성장 모델이 아닌, 다양한 경로와 방식으로 발전하는 분산형 경제로 발전할 수 있다. 즉, 플랫폼 경제, 디지털 자산, P2P 금융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산업의 비선형성은 기존의 전통적 생산 방식에서 벗어나, 융합적·협업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유기적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제조, 공유경제, 개방형 혁신을 통해 비선형적 경제 체계를 개편할 수 있다. 셋째, 다양체(Multiplicity)적 구조이다. 리좀은 고정된 중심이 없고 하나의 핵심이나 본질이 존재하지 않는 구조이다. 특히 비선형적 연결을 통해 다양한 요소가 수평적으로 얽혀 무한한 변이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관계와 구조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확장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리좀은 하나의 통일된 개념이 아니라 서로 다른 요소들이 공존하며 단일 실체를 거부하고 다중 실체로 나아간다. 특히 부분이 전체를 대체하지 않고, 각각의 요소가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연결되어 있다. 리좀의 다양체 구조는 단일한 질서가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고 확장되는 다원적인 관계망을 의미한다. 리좀의 다양체적 국가의 정치적 연관성은 다양한 정치적 의견과 집단이 공존하며, 각각의 집단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복합적 정치 구조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다당제, 시민 단체의 활동, 다양한 의견이 상호작용하는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다. 경제의 다양체적 구조는 중앙 집중화된 경제 모델에서 벗어나, 여러 경제 주체들이 독립적으로 활동하고 상호 연결되는 다원적 경제 구조를 만들 수 있다. 특히 스타트업, 소규모 기업, 협동조합, 크라우드펀딩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산업부문에서는 기존의 대기업 중심 산업 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업과 산업 분야가 상호 연결되어 발전하는 네트워크형 산업체계를 갖출 수 있다. 특히 협업 경제, 생태계 기반 혁신, 분산형 생산 모델 등의 실현이 가능하다. 넷째, 내재(Immanence)적 구조이다. 리좀의 내재적 구조는 존재의 본질이 아닌,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초월적 존재나 중심적 이념 없이 스스로 존재하며 외부적 원리에 종속되지 않는다. 각각은 자체적으로 의미를 가지고 상호작용하며 구성 요소들이 독립성을 유지하며 연결되어 있다. 특히 외부의 영향이 아니라 내부의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변형되며, 내부에서 변화와 생성이 일어난다. 리좀은 특정한 목적이나 중심이 없이 자율적으로 전개되며 고정된 본질이 존재하지 않는다. 리좀의 내재적 구조는 외부적 권위나 절대적 기준 없이, 스스로 형성되고 변화하는 개방적 체계를 의미한다. 내재적 국가의 정치적 연관성은 외부의 강제적 권위나 규범 없이, 정치적 변화와 의사결정이 내부에서 자율적으로 발생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풀뿌리 민주주의, 시민 주도의 정치 참여가 이에 해당한다. 경제에서는 경제적 변화와 혁신이 내부적 동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분산형 경제 시스템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로컬 경제, 자생적 기업, 협동조합 등을 통해 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산업에서는 내부의 관계와 협력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과 혁신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개방형 혁신, 창의적인 산업 클러스터, 네트워크 기반 협업 등이 가능하다. 리좀의 내재적 구조는 국가의 정치·경제·산업에서 외부의 강제적 원리 없이 내부의 관계와 동력에 의해 자율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체계를 가질 수 있다. 다섯째, 탈영토화(Deterritorialization)적 구조이다. 리좀의 탈영토화적 구조는 고정된 틀이나 제한된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기존 경계를 넘어서 확장되는 구조이다. 언제든 새로운 연결과 변화를 만들어내며 유동적이고 가변적이다. 기존 수목 구조를 해체하고 자유롭게 연결되며 위계적 질서로 부터 벗어난다. 특정한 장소나 체계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며 새로운 관계와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리좀의 탈영토화는 기존의 경계를 허물고, 끊임없이 이동하며 새로운 연결을 창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리좀의 탈영토화와 정치적 연관성은 중앙집권적 권력 구조에서 벗어나, 지방 분권과 시민 주도의 정치 참여가 강화되며 정치적 경계가 확장될 수 있다. 경제에서는 특정 산업이나 지역에 얽매이지 않고, 글로벌화와 분산형 경제 모델을 통해 경제 체계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경제와 온라인 플랫폼 등이 확산될 수 있다. 산업에서는 고정된 산업 영역을 넘어, 융합 산업과 국경을 초월한 협업 체계가 구축되면 스타트업, 글로벌 협업 네트워크 등이 활성화될 수 있다. 리좀을 통한 생성형 사회로의 전환은 다음과 같다. 리좀은 초지능화 사회에서 인공지능과 함께 생성형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최고의 전략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그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첫째, 생성형 사회와 정치 리좀적 사고는 중앙집권적 구조를 해체하고 분산화와 다원주의를 강조하는 특성을 가진다. 초지능화 사회에서, 인공지능의 지원을 받아 다양한 사회적 요구와 의견을 즉시 반영할 수 있는 정치적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을 활용한 시민 참여 플랫폼은 정치적 의사결정을 실시간으로 민주적으로 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반영할 수 있다. 리좀적 사고는 탈중심적이고 수평적인 정치 구조를 통해, 모든 참여자가 평등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를 만든다. 이와 같은 구조는 직접 민주주의, 지방 분권, 시민 주도 정치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생성형 사회와 경제 리좀적 사고는 경제적 탈중심화, 분산형 경제 모델을 지향한다. 초지능화 사회에서 인공지능은 경제적 결정들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랫폼 경제와 공유경제, P2P 금융과 같은 분산된 경제 모델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을 통해 디지털 자산 및 분산형 통화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경제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리좀적 사고는 대기업 중심 경제에서 벗어나, 다양한 경제 주체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도 상호작용하고 협력하는 경제 모델을 지향한다. 이는 경제적 다양성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생성형 사회와 산업 리좀적 사고는 산업 구조의 탈중심화와 다원화를 강조한다. 초지능화 사회에서 인공지능이 산업 생산을 더 효율적으로 재편성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가 네트워크형 협업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지원한다. 기존의 대기업 중심 대량 생산 체제에서 벗어나, 스타트업과 분산형 생산 시스템이 활성화될 수 있다. 스마트 제조, 디지털 트윈, 3D 프린팅 등을 통해 다양한 산업들이 서로 연계되고 협업하여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생태계를 만들어갈 수 있다. 리좀적 사고는 산업 내 융합적 협업을 통해 창조적 혁신을 이끌어내는 핵심 전략이 될 수 있다. 넷째, 생성형 사회와 복지 리좀적 사고는 인간 중심의 복지 시스템을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AI 기반의 맞춤형 복지 서비스는 개인의 필요와 요구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는 건강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별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실시간으로 직업교육과 재취업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리좀적 사고는 분권적 복지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여, 복지 서비스를 각 지역 사회와 개인의 상황에 맞게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헬스케어, 온라인 교육 등의 시스템은 사람들의 생활 전반에서 자율적이고 평등한 기회를 보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섯째, 생성형 사회와 국방 리좀적 사고는 국방의 탈중심화와 네트워크화를 지향한다. 초지능화 사회에서 인공지능이 군사 전략과 전술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중앙집중적인 군사 전략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분산형 방위 체계는 특정 지역이나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글로벌하고 유기적인 방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인 전투 시스템, 드론 및 로봇를 통한 국방은 탈중심적이고 효율적인 국방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리좀적 사고는 국방의 분산형 협력과 네트워크 기반 방위 시스템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전쟁의 양상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리좀적 사고는 초지능화 사회에서 인공지능과 함께 생성형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으로 각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탈중심화, 비선형적 연결, 다양체적 관계, 내재적 생성의 특성을 활용하여, 정치, 경제, 산업, 복지, 국방 등 여러 분야에서 기존의 위계적 구조를 탈피하고 더 유연하고 창조적인 시스템을 만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인간과 기술이 상호작용하며 발전하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3-05
  • [코이오스의 뷰 ①] 디지털 화폐 혁명... CBDC가 개발도상국 경제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는 오늘날 세계 경제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는 기술로, 특히 금융 포용을 확대하고 거래 비용을 줄이며 최신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개발도상국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유엔 개발 계획(UNDP)은 이러한 국가들에서 CBDC의 도입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광범위하게 검토하고, 기회와 도전에 대해 보고하였다. 금융 시스템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CBDC의 사용은 개발도상국에게 금융 포용 격차를 해소하고, 통화 정책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며, 경제적 안정성을 촉진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 CBDC는 중앙은행이 발행하고 관리하는 국가의 법정 화폐를 전자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비트코인과 같은 분산형 암호화폐와 달리, CBDC는 중앙집중화되어 있으며 발행 정부의 신뢰와 보증에 의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다. CBDC의 기술적 기반은 블록체인으로, 이는 거래를 컴퓨터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기술로, 데이터 무결성, 보안 및 투명성을 제공한다. 각 블록은 이전 블록과 연결된 거래 목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변경할 수 없는 체인을 형성한다. 이 분산형 설계는 아무도 전체 체인을 독점하지 않도록 하여 디지털 화폐에 확고한 기반을 제공한다. 블록체인은 원래 민간 암호화폐와 주로 연관되었지만, 이제 중앙은행들은 허가된 블록체인 시스템이나 혼합 모델을 사용하여 금융 시스템을 감독하면서 분산형 기술의 효율성과 보안을 활용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 CBDC 사용의 주요 이점 첫째, 금융 포용 확대이다. 많은 개발도상국과 저소득 경제에서 큰 인구가 기존 금융 시스템과 국제 금융 네트워크에 접근하지 못한 채 은행 계좌가 없거나 불완전하게 서비스를 받고 있다. CBDC는 은행 계좌 없이도 국제 경제에 접근할 수 있는 포용적이고 안전한 디지털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중앙은행은 라디오 기술을 통해 시골 지역에 CBDC를 배포할 수 있으며, 이는 물리적 은행 지점의 필요성을 줄여준다. 금융 포용은 사람들에게 경제적 자립을 가능하게 하고, 저축, 신용 및 보험 서비스와 같은 중요한 금융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둘째, 거래 비용 절감이다. CBDC는 개발도상국에서 비효율적이고 비싼 결제 시스템, 특히 국경 간 송금 및 결제를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송금은 많은 개발도상국 GDP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으로 인해 큰 영향을 받는다. CBDC는 중개자의 수를 줄여 결제를 더 저렴하고 빠르게 만들 수 있다. 이는 이주 노동자들이 본국에 가족에게 송금할 때 특히 유용하며, 거래 비용이 줄어듦으로써 송금액의 더 많은 부분이 수혜자에게 도달하게 되어 그들의 경제적 복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통화 정책의 향상된 제어이다. CBDC는 중앙은행이 경제에서 더 정확하게 개입할 수 있게 하여 통화 정책을 개선할 수 있다. 현금경제는 유동성 관리 문제, 인플레이션, 그리고 통화 유통에 취약하다. 중앙은행은 디지털 화폐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이를 통해 더 나은 정책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조절하고, 경제 위기를 관리하며, 전체적인 금융 안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CBDC는 또한 정부가 직접 시민에게 재정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복지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이고, 현금 배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행위와 누수를 줄여준다. 넷째, 보안 및 반사 기능이다. CBDC는 디지털 특성과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하여 위조나 불법 금융 활동과 같은 위협을 없앨 수 있는 향상된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거래는 투명하고 추적 가능하며, 자금 세탁, 세금 회피 및 부패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투명성은 금융 시스템에 대한 공공의 신뢰를 증진시켜, 공식 경제의 사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계약—조건이 코드로 직접 작성된 자동 실행 계약—을 사용하여 다양한 금융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보안을 강화하며, 인적 오류와 사기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CBDC의 도입과 도전 과제 CBDC의 도입과 도전 과제는 첫째, 인프라 부족이다. 개발도상국은 국가 디지털 화폐 시스템을 지원할 인프라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 연결, 스마트폰 보급률, 디지털 문해율은 국가마다 큰 차이를 보이며, 이는 CBDC 채택에 중요한 장애물로 작용한다. 둘째, 규제 문제이다. 중앙은행은 혁신이 금융 안정성과 소비자 보호를 고려한 규제 하에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셋째, 프라이버시 문제이다. 많은 시민들이 정부가 디지털 화폐 거래를 감시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어, CBDC 시스템은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CBDC 설계 모델의 가능성 도매 CBDC는 은행 및 은행 간 결제에 사용되어 고액 결제와 유동성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소매 CBDC는 일반 대중이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현금 대안으로, 특히 현금 사용이 여전히 널리 퍼져 있는 국가에서 일상적인 금융 거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각국의 경제적 및 기술적 조건에 따라 도입될 모델이 결정된다. 주요 국가들의 CBDC 도입 사례로는 다음과 같다. 나이지리아는 2021년 10월, 아프리카 최초로 디지털 화폐인 eNaira를 출시하였다. eNaira는 금융 포용을 촉진하고 현금 거래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 도입은 저조했지만, 이는 공공의 인식 제고와 신뢰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동카리브 제도의 동카리브 중앙은행(ECCB)은 여러 카리브해 국가 간 거래를 촉진하기 위해 디지털 화폐 DCash를 도입하였다. 중국 디지털 위안은 개발도상국의 CBDC가 아니라, 대규모 CBDC 배치를 위한 프로토타입으로, 수백만 명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BDC의 향후 전망 IMF, 세계은행, UNDP와 같은 국제기관들은 CBDC 프로젝트를 위한 기술적 지원, 정책 가이드라인, 인프라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중앙은행과 핀테크 기업 간의 파트너십은 CBDC 시스템을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디지털 경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CBDC의 개발도상국에서의 도입은 금융 시스템을 혁신하고, 통화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며, 저소득층의 금융 접근을 개선하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인프라 제한, 규제 문제 및 신뢰 문제는 신중하게 다뤄져야 하지만, 그 이점이 비용을 능가한다. 더 많은 국가들이 디지털 화폐 옵션을 탐색함에 따라, 글로벌 금융 시스템은 더 포용적이고 효율적이며 기술 중심으로 발전할 것이다. CBDC의 성공적인 구현은 철저한 계획, 부문 간 협력 및 각 지역의 고유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다. 올바르게 구현된다면, CBDC는 향후 몇십 년 동안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빈곤을 줄이며, 금융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본 기사는 ESG코리아뉴스 미국 Yoon Jong Oh의 영문 오피니언으로 원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The Digital Currency Revolution: How CBDCs Are Transforming Developing Economies By YoonJong Oh The Digital Currency Revolution: How CBDCs Are Transforming Developing Economies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CBDCs) are today a game-changing innovation in the global economy, particularly for developing economies looking to enhance financial inclusion, reduce transaction costs, and establish an up-to-date monetary system.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has extensively reviewed the possible impact of CBDC rollout in such countries, reporting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s financial systems continue to evolve, the use of CBDCs by emerging economies presents a unique opportunity to bridge financial inclusion gaps,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monetary policy, and encourage economic stability. CBDCs are electronic representations of a nation's fiat currency, issued and managed by the central bank, as electronic legal tender. Unlike decentralized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with no central control and known for their volatility, CBDCs are centralized and secured by the full faith and credit of the issuing government and therefore stable and reliable. The technology used for CBDCs is blockchain—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that stores transactions on a network of computers, offering data integrity, security, and transparency. Each block contains a list of transactions linked to the previous block, forming a chain that cannot be altered. This decentralized design ensures that no one institution has custody of the whole chain, giving digital money a firm foundation. While blockchain has been most widely associated with private cryptocurrencies, central banks are now using permissioned blockchain systems or hybrid models that allow them to oversee the financial system while enjoying the efficiency and security of decentralized technology. For developing countries, CBDC usage can be one of the solutions for some of the chronic financial issues. The biggest benefit is possibly the ability to improve financial inclusion. In most developing and low-income economies, large segments of the population remain unbanked orunder-banked because they do not have access to conventional financial systems a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network. CBDCs have the potential to offer an inclusive and safe digital payment instrument, allowing those without bank accounts to tap into the international economy and access a wide pool of opportunities. Central banks can distribute CBDCs via radio technology to rural communities, lowering the necessity for physical bank branches. Inclusion has the potential to economically empower people and ease access to savings, credit, and insurance financial services that are most vital for financial security and economic mobility. Another major benefit of CBDCs is the ability to reduce the cost of transactions, particularly cross-border remittances and payments. Payment systems in developing economies are inefficient and expensive, with slow processing. Remittances, which are a major proportion of GDP in most developing economies, are particularly affected by such inefficiencies. CBDCs can improve payment processes by reducing the number of intermediaries, making payments cheaper and quicker. Such efficiency is particularly useful for remittances by migrant workers to their families in their home countries because reduced transaction costs mean that a greater proportion of remitted funds reach the intended recipients, enhancing their economic well-being. The application of CBDCs also gives central banks greater control over monetary policy, allowing them to intervene better and more precisely in the economy. Cash economies are susceptible to liquidity management issues, inflation, and currency circulation. Central banks can track money flow in real time with a digital currency, allowing them to make sound policy choices. This is critical in controlling inflation, managing economic crises, and maintaining overall financial stability. CBDCs can also facilitate direct fiscal transfers to citizens, making government welfare schemes more effective by eliminating fraud and leakages in cash distribution mechanisms. By allowing governments to transfer aid directly to people via digital wallets, CBDCs can increase transparency and prevent corruption in social welfare schemes. Security and anti-fraud are some of the reasons why CBDCs are a perfect choice for developing nations. The digital aspect of CBDCs, combined with blockchain technology, offers enhanced security features that eradicate threats such as counterfeiting and illicit financial activities. Transactions are transparent and traceable, and money laundering, tax evasion, and corruption are reduced. Such transparency can foster public trust in the financial system, thereby the greater use of the formal economy. Additionally, the use of smart contracts—self-executing contracts whose terms are written directly in code—can automate and secure various financial processes, reducing human error and the possibility of fraudulent activities. Despite many advantages, there are obstacles to the implementation of CBDCs. Third-world nations lack the infrastructure to support a national digital currency system. Reliable internet connectivity, smartphone penetration, and digital literacy rates vary greatly between nations, representing a significant barrier to adoption. Central banks must also contend with complex regulatory systems, ensuring that innovation is weighed against financial stability and consumer protection. Privacy is also a significant factor in CBDC adoption because most citizens are afraid of government interference and monitoring of digital monetary transactions. Policymakers must, therefore, ensure that CBDC systems incorporate privacy-preserving features with regulatory protectio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oices in CBDC design is whether to implement a wholesale or retail model. Wholesale CBDCs are for banks and interbank use, facilitating more efficient and secure high-value payments. Retail CBDCs are for use by the general public, as a digital cash alternative. While wholesale CBDCs are advantageous in terms of liquidity management and financial stability, retail CBDCs would potentially transform everyday financial transactions, especially in countries where the use of cash is still prevalent. The model to be implemented depends on the unique economic and technological conditions of each country. Several developing nations have already made significant strides toward implementing CBDCs. Nigeria introduced the eNaira in October 2021, the first African nation to issue a digital currency. The eNaira is designed to encourage financial inclusion and reduce cash-based transactions. Early adoption has been sluggish, however, indicating the necessity for greater public awareness and trust building. The Eastern Caribbean Central Bank (ECCB) introduced DCash, a digital currency designed to facilitate transactions across several Caribbean nations. The ECCB is looking to increase financial connectivity and reduce transaction costs in a region where cross-border trade is vital to economic development. China's digital yuan, not a developing nation initiative, is a prototype for large-scale deployment of CBDCs, with pilot programs continuing to serve millions of users across a range of industries. In the years to come, the role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 the evolution of CBDC for emerging economies cannot be overstated. Int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the World Bank, and the UNDP are closely working with governments to provide technical assistance, policy guidance, and infrastructure support for CBDC projects. Central bank-fintech partnerships will also play a crucial role in making CBDC systems efficient, secure, and responsive to the evolving digital economy. In short, the application of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in emerging economies has a tremendous potential to revolutionize financial systems, improve the efficiency of monetary policy, and enhance financial access to poor communities. While infrastructure limitations, regulatory concerns, and trust issues must be dealt with carefully, the benefits outweigh the costs. As more countries explore digital currency options, the global financial system will be biased towards a more inclusive, efficient, and technologically driven system. The success of CBDCs in emerging economies will depend on sound planning, cross-sectoral coordination, and the ability to meet the unique needs of each region. If implemented correctly, CBDCs can help spur economic growth, reduce poverty, and enhance financial resilience in the next few decades. Bibliography Adrian, T., He, D., Mancini-Griffoli, T., & Sun, T. (2023, November 20).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Development Enters the Next Phase. IMF. https://www.imf.org/en/Blogs/Articles/2023/11/20/central-bank-digital-currency-development-ent ers-the-next-phase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Can Boost Middle East’s Financial Inclusion, Payment Efficiency. (2024, June 18). IMF. https://www.imf.org/en/Blogs/Articles/2024/06/18/central-bank-digital-currencies-can-boost-mid dle-easts-financial-inclusion-payment-efficiency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Tracker. (n.d.). Atlantic Council. https://www.atlanticcouncil.org/cbdctracker Decrypting crypto. (2025). UNDP. https://www.undp.org/blog/decrypting-crypto Foster, K., Blakstad, S., Gazi, S., & Bos, M. (2021). The findings of the Dialogue on Global Digital Finance Governance are packaged into three thematic areas: BigFintechs and their impac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 Technical Paper 1.1 BigFintechs and their impac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 Technical Paper 1.1B BigFintechs and their impacts on macroeconomic policies • Technical Paper 1.2 Digital currencies and CBDC impacts on least developed countries Corporate governance innovations • Technical Paper 2.1 BigFintechs and the UN SDGs: the role of corporate governance innovations BigFintechs and international governance, policymaking and the SDGs • Digital currencies and CBDC impacts on least developed countries (LDCs) Dialogue on Global Digital Finance Governance. https://www.undp.org/sites/g/files/zskgke326/files/2021-06/UNDP-UNCDF-TP-1-2-Digital-Curr encies-and-CBDC-Impacts-on-Least-Developed-Countries-LDCs-EN.pdf Johnson, C. S. (2021, August 11).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in emerging markets | BusinessFeed. Cornell SC Johnson. https://business.cornell.edu/hub/2021/08/11/central-bank-digital-currencies-emerging-markets.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2-25
  • [윤재은 칼럼] ‘종말의 시간’까지 89초 남았습니다.
    무한한 우주의 비밀은 과학으로도 풀 수 없는 신비의 세계이다. 인류가 지구라는 푸른 별 위에 문명을 건설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상황에서 78년 전 인류가 세상을 파괴하는 데 얼마나 가까이 다가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종말 시계(Doomsday Clock)’라는 독특한 시계를 만들었다. 과학 및 안전 위원회는 2025년 1월 28일 기준, 종말 시계를 ‘89초 전’으로 맞췄다. 이는 종말을 알리는 시계를 자정에 1초 더 가깝게 조정함으로써 인류에게 종말의 시간이 더욱 가까워졌다는 엄중한 신호를 보내기 위한 것이다. 세계는 이미 종말의 절벽에 위험할 정도로 가까워지고 있고 단 1초만 더 움직여도 극도의 위험이 인류에게 다가오게 될 상황이다. 우리는 이러한 신호를 빨리 알아차려야 한다. 만약 종말로 가는 길을 바꾸는 데 1초라도 늦어지면 지구는 재앙의 늪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1947년 종말의 시계를 만든 원자 과학자의 게시판에 따르면 현재 인류는 종말의 시간에 가장 가까이 다가서고 있고 만약 자정에 도달한다면 다시는 인류를 살릴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과학자들이 종말의 시계를 1초 앞당긴 것은, 지난 몇 년 동안 지구상에 일어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핵 군비 경쟁 가능성, 가자지구의 이스라엘·하마스 갈등 그리고 심각해져 가는 기후 위기 등을 이유로 들고 있다. 시카고 대학의 물리학,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과 교수이자 과학 및 보안 위원회 의장인 다니엘 홀츠(Daniel Holz)는 "우리는 핵 위험, 기후 변화, 생물학적 위협 및 인공지능과 같은 파괴적 기술의 발전을 포함하여 우리가 직면한 세계적 과제에 대해 충분하고 긍정적인 진전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시계를 자정에 가깝게 맞췄다"고 말했다. "핵무기를 보유한 국가는 무기고의 규모와 역할을 늘리고 있으며, 문명을 여러 배나 파괴할 수 있는 무기에 수천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며, “인공지능, 생명공학, 우주 분야와 같은 파괴적 기술 개발의 진전도 해당 분야의 규제를 크게 앞지르고 있다”1)고 말했다. 인류의 위기를 알리는 종말 시계는 매년 과학 및 보안 위원회 전문가들이 후원 위원회와 협의하여 시간을 설정하고 있다. 후원 위원회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2)이 1948년 12월에 처음 설립했으며, J. 로버트 오펜하이머(J. Robert Oppenheimer)3)가 초대 의장이었다. 위원회에는 노벨상 수상자 9명이 포함해 물리학, 생리학, 의학 분야의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학자들이 설정한 종말 시계는 은유적,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인류가 과학을 통해 풍요를 맛볼 때 인간 삶을 지탱해주는 지구별이 얼마만큼 인간이 가지고 있는 욕망의 질주를 용납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역설적으로 종말 시계가 암시하고 있다. 만약 내일 당장 인류에게 종말이 온다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마틴 루터(Martin Luther)는 “내일 지구의 종말이 올지라도 오늘 나는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4)고 말했다. 그의 말처럼 우리는 불안한 미래에서 벗어나 담담하게 내일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 불안을 떨치고 ‘실존적 자아’로 나아가야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과학자들이 종말 시계를 통해 경고하고 있는 메시지를 가슴 깊이 새겨 반성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 각주 1) 종말 시계 2025: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간을 설정하다, 크리스틴 로저스, CNN, 2025. 1. 28. 2) 독일 태생의 이론물리학자로 ‘상대성 이론’을 개발하고 양자역학 이론의 발전에도 중요한 공헌. 3) 세계 최초의 핵무기 개발 프로젝트인 맨해튼 계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한 미국의 물리학자. 4) "Even if I knew that tomorrow the world would go to pieces, I would still plant my apple tree." -Martin Luther- 덧붙이는 글 I 윤재은(Yoon Jae Eun) 예술, 문학, 철학적 사유를 통해 본질에 대해 고민하는 공간철학자이자 건축가이다. 현재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공간디자인학과, 테크노전문대학원 공간문화디자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학사, 미국 뉴욕 프랫대학 인테리어디자인 석사,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단법인 한국ESG위원회 이사장, 한국토지주택공사 LH 이사회 의장, LH ESG 소위원회 위원장, 2022년 대한민국 ESG소통 운영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미국의 UC버클리대학 뉴미디어 센터에서 1년간 방문학자로 있었다. 저자는 ‘해체주의 건축의 공간철학적 의미체계’ 박사 논문을 통해 공간철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적 영역을 개척하였다. ‘공간철학’이란 반성을 통해 지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직관을 통해 무형의 공간과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주요 저서로는 장편소설 ‘비트의 안개나라’, 시집 ‘건축은 나무다’, ‘건축은 선이다’, 건축 전문서적 ’Archiroad 1권(Hyun), 2권(Sun), 3권(Hee)‘, 철학 인문 서적 ‘철학의 위로’가 있다.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5-01-29
  • [자재의 세계오지 도보순례⑥] 서역만리, 위그루인들의 땅에서
    바람, 구름, 초원의 땅 그 땅을 찾아가기 위해 서해를 건너온 한 사내가 서 있다 베이징역, 인산인해의 틈바구니에서 홍조 띤 얼굴을 하고 그가 시간을 가늠한다 철길만 외로이 벌판에 길을 내고 그 끝은 어디에 닿아있는지, 아득할 뿐이다 사내가 다시 손차양을 하고 무엇이 그리운지 동쪽을 본다 저 해무가 거치면 아련한 그 나라가 이어도처럼 떠 있을 것이다 끝없이 달리는 푸른 구릉들 그 지평선 위로 오르는 구름들은 저마다 미완의 꿈들을 피워 올리는지 바람 속에서 가볍게 몸피들을 부풀리고 있다 길을 달리는 건 오직 철마와 끝이 보이지 않은 전신주뿐 그리고 낮은 구릉들 사이로 언뜻언뜻 달리는 푸른 늑대 한 마리를 보았다 말발굽 소리도 이미 잦아든 지 오래인 이 푸른 대륙에 이 길의 끝은 도대체 어디쯤 가 닿아있을까 잠도 자지 않는 빙하가 365일 흘러내리는 천산 산맥 중심부를 관통하고 들어가 잠들어 버렸을까 맘모스의 화석처럼 언뜻언뜻 보이는 게르들 오직 하늘에 떠 있는 구름만이 이 땅에서는 그늘을 만들 수 있다 신은 어찌하여 이 광활한 벌판에 이토록 작은 인류를 보내셨을까 사내가 문득 벌판에 서서 다시 해시계를 가늠한다 길이 나 있다 광활한 초원 위로 난마(亂馬)하는 길들 저 길들은 도대체 모두 어디로 간단 말일까 주체할 수 없는 꿈들을 안고 저마다 한 길씩 잡아 떠나갔을까 구릉 사이로 늑대 한 마리 또 스친다 사내는 나지막한 구릉 정상까지 뛰어 올라가 손차양을 하고 초원을 바라본다 어디에도 늑대가 간 길은 없다 가벼이 몽골 벌판을 떠다니는 바람만이 초원을 핥고 다닌다 부드러운 곡선만이 아가의 둔부처럼 지평선에 누워있고 거대한 뭉게구름들이 포근한 엄마의 품처럼 능선들을 다독이고 있다. -푸른 늑대를 찾아서, 윤재훈 오랜 미얀마 여행을 마치고 이제 위구르족들의 나라, 중국 서쪽 끝으로 날아갈 것이다. 이번에는 여행사에 의지하지 않고 직접 비자를 받아볼 생각이다. 미얀마는 개인이 비자 받기 어려운 나라 중의 하나다. 아마도 뒷돈이 있어서 그럴까. 코캇서스의 3국의 맨 아래 아르메니아에서도 물어 물어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비자를 받아본 적이 있다. 여유만 있다면 시간을 더 들이는 것이 아까울 수도 있다. 아르메니아의 수도 예레반의 중앙에는 거대한 분수대가 있는데, 나라에서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는 이곳 분수대에서 화려한 쇼가 열리기 시작한다. 음악에 맞추어 오랜 동안 오색의 불빛과 함께 쏟아내는 물줄기는 어디에서도 보기 힘든 멋줄 연출을 보여주었다. 사실 비자를 받을 수 있는 여행사는 그곳에서 멀지 않았다. 제대로 의사 소통이 힘들다는 것이 제일 문제였지만 신청하고 며칠 후에 그리 어렵지 않게 받은 것 같다. 다음에는 교통을 이용하는 것이다. 매번 국경을 넘을 때마다 겪는 것이지만 버스를 타는 곳을 찾기란 만만치 않다. 그런데 미얀마에서 중국 비자를 받기는 상당히 어려웠다. 그중에 한 가지가 뙤약볕 아래 왔다갔다 하는 일이었다. 현지 가이드가 알려준 장소로 갔지만 관리인들은 약간 고압적이였으며 비협조적이였다. 여하튼 한 달 가까이 걸렸을까, 어려웠지만 좋은 체험이었다. 이제 내일이면 갈 나라, 중국 지도를 펼쳐놓고 가만히 보면 한 마리의 커다란 수탉이 먹이를 쪼을 듯한 형상이다. 그 아래 부분에 먹이처럼 던져진 대한민국, 어찌보면 마치 거대한 대륙이 절벽처럼 이 나라를 내리누르는 것만 같아 답답하기까지 하다. 그 덕분에 이 반도에 형성된 삼국시대와 고려, 조선 등의 조그만 나라들이 500년 이상 유지됐을까?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힘든 현상이라고 하는데, 중국이 위에서 둘러싸고 있고 오랜 시절 사대(事大)를 유지하다 보니 그나마 견뎌 왔을까. 그러나 그 아래 지척에 있는 왜구들은 줄기차게 이 땅을 침범해 와서 욕을 보였다. 급기야 지금은 그들의 앞바다에 핵폐기물까지 버리며 인류를 함께 파멸 속으로 몰아넣고 있으니 답답할 일이다. 그러나 중국과 달리 이 나라에 위정자들은 누구 한 사람 그 잘못을 따지는 사람이 없다. 이제 쿤밍으로 갈 것이다. 가만히 생각해 보니 내가 중국에서 미얀마로 갈 때 약간의 갈등이 있었다. 나는 1차 세계여행 때는 여기에서 베트남 싸파 국경을 육로로 넘었다. 그런데 이번 2차 여행 때는 윈난성을 돌고 출발한 작정이었다. 그런데 트렁크가 문제였다. 1차 세계여행 때는 태국을 일주하면서 방콕에서 치앙마이로 올라갈 때도 트렁크를 가져갈 것인가, 두고 갈 것인가, 한참을 고민한 적이 있다. 방콕에는 배낭 여행자들의 성지처럼 유명한 카오산 로드가 있는데, 근처에는 배낭 여행자들의 집결지로 수많은 게스트하우스가 몰려있다. 그중에 한국인이 직접 운영하는 곳이 두 군데나 있고 여행사도 한 군데 있다. 나는 여행사에 트렁크를 맡겨 두고 일정 비용을 내기로 했다. 그리고 일 년 후에 돌아왔는데, 그 안이 어떻게 되었을까, 한 번 상상해 보시라. 아마 그 당시 한두 번 입었던 옷도 있었을지는 모른다. 가방을 열어보니 안은 완전 벌레투성이였다. 우리가 보통 ‘좀’이라고 하는 벌레가 가방 가득 들어있었다. 옷들은 전부 걸레 조각처럼 되어 있어 만지기도 징그러웠다.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ABC에서도 사용했던 고가의 오리털 파카도 침낭도 다 걸레가 되어가고 있었다. 단 한 개도 건지지 못하고 모두 버렸다. “가방 안은 그 형상이 끔직했다. 생명의 난장판이었다. 이것 내가 무슨 짓을 한 거지?” 쿤밍에서는 약간 즐거운 일도 하나 있었다. 내가 들어간 게스트 하우스는 비수기인지 어떤지 손님이 별로 없었다. 도미토리를 예약했는데, 손님이 없다고 주인은 조금만 더 내고 1인실을 쓰려는지 물었다. 중국인답지 않게 요금을 과하게 말하기 않아 방을 구경하고 그렇게 하겠다고 이틀을 예약했다. 투명한 유리창으로 밖이 환히 내려다 보이는 2층 방, 옛날부터 나는 만일 집을 짓는다면 전체적으로 투명한 유리창이 있는 그런 집에 살고 싶었다. 자연 속에 안겨 있는 집, 응접실에 앉아 보면 사방이 전부 한 시야에 들어오는 집. “자연이 나와 온전히 하나가 될 수 있는 방, 깊은 밤 홀로 그 방안에 앉아 있어도 거리낌이 없는, 다이모니온(소크라테스의 양심의 소리)의 소리가 들려오는 방”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4-11-16
  • [자재自在의 환경 이야기⑤] 태평양을 떠다니는 거대한 쓰레기섬(garbage island)
    "지구상에서 가장 압도적인 생물체는 식물인데,그 총량은 무려 4500억 톤으로,모든 생명체의 82%나 된다. 인간의 7500배나 되는 어마어마한 수치다. 박테리아는 13%나 되지만, 식물의 6분의1밖에 되지 않는다. 곤충에서 곰팡이, 물고기, 동물 등 다른 생명체들은 다 합쳐도, 5%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그들이 밝혀낸 놀라운 사실은, 이 지구의 70%나 차지하는 바다 생물량이 그 1% 밖에 되지않는다는 사실인데, 이것은 엄청난 불균형이다. 사실 식물을 포함해 대다수 생명체들이 육지에 살고 있는데, 그중 8분의 1은 땅속 깊숙한 곳에 묻혀 있는 박테리아로 무려 700억 톤이나 된다." 이스라엘 바이츠만과학연구소의 론 밀로(Ron Milo)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진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한 연구 결과이다. 육지와 마찬가지로 바다에선 3세기에 걸친 포경으로 해양 포유동물의 5분의 1만이 살아남은 상태라고 한다. 반면 전체 포유동물은 4천만 톤에서 1억7천만 톤으로 4배 증가했다. 인간이 사육하고 있는 가축 때문이다. 오늘날 자연 생태계가 얼마나 왜곡돼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라 하겠다. 인간의 그림자가 스치기만 하면 그곳은 아비규환이 된다. 자제할 수 없는 살육으로 생태계는 파괴되고 불 보듯 뻔한 자연파괴가 일어난다. 쓰레기와 일회용품, 비닐, 넘쳐나는 플라스틱 제품에 환경오염까지, 그러니 이 지구가 단발마를 지르며 견디지를 못한다. 전 세계에 지진, 쓰나미, 허리케인, 가뭄과 기근 등으로 약소국가 국민의 목숨을 더욱 위협하고 있다. 이제 환경재앙은 어느 나라도 피할 수 없는 지구적인 문제이다. 태평양에는 한반도의 16배나 되는 거대한 쓰레기 섬이 떠다니고 있다. 태평양 거대 쓰레기 섬(Great Pacific Garbage Patch)’ 또는 ‘플라스틱 섬’으로 불린다. 이 섬은 약 1조 8,000억 개의 해양 쓰레기로 형성되어 있는데, 플라스틱 조각만 8만 7000톤이고, 치우는 데에만 족히 20여 년이 걸린다고 한다. 모두 인류가 버린 것이다. 그중에서도 일찍 문명의 향유를 실컷 누린 선진국들의 결과물이다. 그런데 그들은 지금 아무런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고 더 많은 쓰레기와 오염물질을 양산해 내고 있다. 초강대국 미국은 그런 환경조약에서 탈퇴를 하고, 파렴치한 일본은 수십 년에 걸쳐 자신들의 국가, 번영의 산물인 핵폐기물을 세계에 아무런 동의도 없이 바다에 버리고 있다. 미국도 덩달아 동의를 하고 있다. 이 나라도 마찬가지다. 과감하게 책임을 묻고 모든 해산물을 수입금지 시킨 중국의 자주권 발동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가을 하늘이 더욱 파랗고 높고, 그윽하다 여름내 몰려왔던 폭염이 장마와 함께 물러나고 이제 막 살만한데, 오늘은 일본이 바다에 방사능 폐기물을 버리고 맞는, 첫날이다 그들은 지금 이 지구에, 무슨 짓을 저지르고 있는가 호모 사피엔스는 과연 스스로의 터전을 멸망시키고 말 것인가 그 하늘로 까마귀 떼가 날아간다 두 번째 태평양 전쟁을 맞는 기분이다 그때는 미국을 상대로 공격했지만 오늘은 세계를 향하여 공습경보도 없이, 무차별 공격을 감행한 것이다 어쩌면 일본은 우리에게 철천지(徹天之) 원수인지 모른다 광개토대왕 때는 파렴치한 왜구가 되어 이 나라의 해안가를 노략질 하더니 임진년의 원수가 되어 이 산천를 도륙(屠戮)내고, 부녀자들 겁탈을 일삼았다 명치유신 하면서는 이 나라를 야금야금 쥐새끼처럼 갉아 먹더니 급기야 일방적으로 한일합방(韓日合邦)을 맺고 국권을 빼앗아 갔다 국치(國恥)의 비가 이 강산을 적셨다 어쩌면 일본은,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 할 철천지 원수인지도 모른다 어떻게 사람의 식탁에 핵폐기물을 끼얹을 수 있는가 온 인류가 이고 지고 살아가야 할 이 푸른 지구를, 도륙낼 수가 있는가 바닷물이 뜨겁게 흐르며 운다 일제(日帝)의 심장에서, 인류의 심장으로 가을하늘이 저리 높건만. 오늘은 일본이 세계의 바다를 죽이는 첫날이다 가을바람은 이리 시원하게 부는데, 인류는 이 지상에 살아갈 수 있을까 심장이 없는 물고기가 나오고 허파가 없는 가축이 출생하고 한쪽 눈 없는 아기가 태어나고, 동쪽에서 핵바람이 분다 방사능 폐기물 비가 내린다 핵우산이 무슨 필요가 있는가 인류의 마당으로 핵비가 주룩주룩 내리는데 세계의 나뭇잎들이 일제히 조종(弔鐘)을 울린다 고개를 더욱 고추 드니 가을 하늘이 참 파랗다 현생 인류가 보는 마지막 하늘일지 모른다" -'핵비가 내린다', 윤재훈 이 쓰레기 섬은 진짜 섬은 아니다. 각종 잔해와 쓰레기가 밀도 이상 되는 구역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대부분 미세 플라스틱 수준까지 분해되어 인공위성이나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 해수를 채취해 검사를 해야만 자세하게 알수 있다. 모든 바다 생물들이 그것을 먹고 있다. 그리고 인간의 뱃속으로 들어온다. 자업자득(自業自得)이다. 더구나 약소국가들은 아무 영문도 모른 채 먹고 있다. 가뭄과 기근으로 배가 고픈 그들은 그런 것을 생각할 여유조차 없다. 문명의 향유를 철저하게 누린 선진국들이 반성하고 나누어야 하지만 오히려 오염의 강도는 나날이 높아만 가고 있다. 부익부빈익빈(富益富貧益貧)의 구조로 흘러가는 인간사회, 그들에게는 뒤돌아볼 수 있는 어떤 여유도, ‘약자와의 나눔’ 같은 것도 없다. 그런데 그 쓰레기양은 얼마나 어마어마한지 자그마치 지구 표면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인공위성에서도 선명하게 보이면서 인류의 뼈를 깎는 반성을 요구하고 있지만, 아무런 응답이 없다. 이 쓰레기 섬에서 발견되는 가장 많은 것은 ‘담배꽁초’이다. 두 번째로는 ‘페트병’이며, 이어 그 뚜껑이다. 4위 음식 포장지, 5위 비닐봉지(음식), 6위 플라스틱 캡, 7위 빨대, 8위 유리병, 9위 비닐봉지(기타), 10위 일회용 그릇" 우리 인류의 삶의 방식에 철저한 반성을 요구하고 있다. 인류는 이 난관을 극복하지 못하면 ‘6번째 대멸종’이 다가올 것이다. 이 중 해양 생물들에게 가장 치명적인 쓰레기는, 낚시도구, 비닐봉지, 플라스틱 식기류, 풍선, 담배꽁초, 병뚜껑 등이다. 20세기 최고의 발명품으로 불리며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했던 ‘플라스틱’, 이제는 이것이 환경뿐 아니라 많은 해양 생물과 나아가 사람까지도 위협하는, 치명적인 존재가 되어버린 세상에 우리는 살고있다. “인류는 과연, 어떤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할 것인가?” 덧붙이는 글 I 자재自在 자재는 자유자재(自由自在)의 자재이다. “환경이 아프면, 내 몸도 아프다”라는 마음으로 30여 년 가까이 일체의 세제와 퐁퐁를 쓰지 않고, 일회용품과 비닐, 비누나 치약 등도 가능한 쓰지 않는다. 물수건이나 휴지 대신 손수건을 쓰고 겨울에는 내복을 입고 실내 온도를 낮춘다. 자가용은 없으며 가까운 곳은 자전거로 먼 곳은 대중교통으로 다니면서, 나의 화석 발자국을 줄이려고 노력한다. 홍익대학교를 비롯한 몇 개의 대학에서 강의를 했으며, 한강 1,300리, 섬진강 530리, 한탄강, 금강, 임진강과 폐사지 등을 걸었으며, 우리나라 해안선만 따라 자전거로 80일 동안 5830km를 순례했다. 다시 세계가 궁금해져 5년 동안 ‘대상(隊商)들의 꿈의 도로’인 실크로드를 따라, 세계오지 배낭순례를 했다. 2000년 전주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으며, 해양 문학상, 전국 문화원 연합회 논문공모 우수상, 시흥 문학상 등 몇 개의 상을 받았다. 2020년 인사동 마루아트센터 아지트갤러리‘국제 칼렌다 사진전’에 참여하였다. 2016년 ‘평화, 환경, 휴머니즘 국제 영상제’에 <초인종 속 딱새의 순산, 그 50일의 기록>이라는 작품으로, '환경부 장관 대상'을 수상했다. 평생 다양한 기관에서 무료봉사를 해오고 있으며, 연극에도 관심이 많아 십여 편의 작품에 출연했다. 또, 노원, 영등포 50+센터 등에서 2년여 전부터 일주일에 한 번씩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내 마음에 안식처 서울역사여행’등을 진행하고 있다.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4-03-20
  • [자재自在의 환경 이야기④] 지구상 모든 생명체의 0.01%에 불과한 인간
    세계적으로 더 많은 소비자들이 온실가스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묻기 시작했다. 글로벌 투자기관도 재생가능에너지 사용 확대를 비롯한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 성적을, 투자에 중요한 요소로 포함 시키고 있다. 특히 RE100 회원사 중 일부는 자신의 공급망에 포함되어있는 협력업체들까지, 재생에너지 전기를 사용하여 생산된 부품을 납품하도록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추세는 가파르게 확산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회사가 글로벌 기업 ‘애플’이다. 애플은 2018년 4월 애플의 사무실, 데이터센터, 소매점 등 기업의 모든 활동에 소비되는 전력을 재생에너지 100%로 공급받는다는 역사적인 선언을 했다.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2020년 7월 애플은 부품 조달부터 서비스 제공에 이르는 전 사업 활동에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100%를 포함하여,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담대한 목표를 발표했다. 2021년 애플 공급사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한국 회사는 공급 지역 기준으로 23곳이다. 삼성전자와 LG디스플레이를 비롯한 국내대표 전자기업들이 대거 포함되어있다. 이제 여기에 수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이제 RE100은 기후위기 대응을 넘어 주요 기업의 수출경쟁력에 직결되는 요소가 되고 있다. GDP(국내총생산) 대비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경제에 있어서 시급한 기후위기 대응에 요구되는 변화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어 버렸다. RE100 대표인 샘 키민스가 2020년 우리나라에서 열렸던 H. 에코포럼에서, 'RE100은 어떻게 탄소 중립 실현을 가속화하고 있는가'를 주제로 강의한 영상(한글 자막 있음)이 있다. 시청해보면 RE100이 왜 우리의 삶과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더 자세하게 알 수 있다. 이제 기후와 환경은 피할래야 피할 수 없는 우리의 생명과 직결되어 있다. 우리의 후손이 이 초록별에서 행복하게 만대를 살아나갈 수 있게 하는 것은 어른들의 책임이다. 오죽하면 세계의 아이들이 나서서 자신들은, ’지구 멸절동물‘이라고 했겠는가? 전 세계가 ‘한국인 평균 수준’으로 살기 위해서는, 이 지구가 3.3개 이상이 더 필요하다. 우리는 이번 선거에서 환경에 안목이 높은 후보들을 적극 찾아내어 그들에게 적극적 기후공약 수립을 촉구하도록, 그린피스가 강조했다. 투표는 누가 하는 것인가, 민중이 하는 것이다. 아귀처럼 자신의 욕망만 가득 차 철새처럼 떠돌아다니며 민심을 얻지 못하는 후보는, 반드시 이번에 탈락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민중은 바다와 같기 때문이다. 바다가 잔잔해야 배가 순탄하고, 행복하게 항해할 것 아닌가? 떠오르는 이야기가 하나 있다. 일본의 무사 정권인 막부가 물러나고 그들의 이해득실에 따라 다시 천황을 중심으로 모이던 때,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단행하여 바다를 열고 한창 해양에 공을 들이며 소총으로 무장하였다. 그때 일본은 한 때 오스만 제국으로 유럽의 미개한 땅을 호령하던 터키와, 1887년 국교를 맺는다. 그리고 터키는 1889년 7월 황제의 명으로 일본에 사절단을 보낸다. 메이지 천황에게 보내는 황제의 친서와 훈장을 소지하고 군함 에르투룰호를 타고 출항한다. 이후 동남 아시아를 방문한 후 나가사키와 고베를 경유하여, 다음 해 6월 요코하마 항에 입항한다. 일본의 황실과 정부도 이 사절단을 성대하게 환영한다. 그리고 다음 날인 9월 16일 오후 사절단은 귀국길에 오르는데, 그만 참혹한 사고를 당한다. 와카야마 근해를 항해하다 태풍을 만난 것이다. 짙은 안개와 쏟아지는 폭우, 뱃전을 때리는 사나운 폭풍으로 배의 키는 부서지고 엔진도 파손되었다. 거센 파도에 떠밀리다 연안 40m 정도 지점에서 좌초되어 버렸고, 크게 파손된 선체는 이윽고 침몰하였다. 구명보트조차 사용하지 못했다. 폭풍우에 갇힌 마을 사람들도 집 밖으로 나오지 않아 이 일을 알지 못했다. 군함 안에는 오스만 파샤 제독을 비롯하여 650여 명이나 승선하였다. 그들 대부분은 목숨을 잃었다. 그중에 극소수만 해안에 도착하여 등대 직원에게 구조를 요청했다. 마을 사람들도 그때서야 대형 사고가 난 것을 알게 되고, 즉각 촌장과 마을 사람들은 생존자를 구조하기 시작했다. 여행지에서 상상도 할 수 없는 참혹한 사고를 당한 이국인들게 헌신적인 구조활동을 펼친 것이다. 당연히 의사소통은 되지 않았다. 가난한 어촌이라 병원도 없었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은 상처를 입고 괴로워하는 생존자들을 혼신을 다해 도왔다. 중상자는 문짝에 싣고, 가벼운 사람은 몸을 부축하여 학교나 사원, 민가로 옮겨 밤을 지새우며 간호했다. 폭풍우가 걷히자 현장은 참혹했다. 유체를 거두어 정중히 장례를 치렀다. 생존자는 69명. 사망자는 실로 580여 명이 넘는 대형 참사였다. 신문에도 크게 보도되었고 전국에서 의연금이 모아졌다. 일본 정부도 생존자를 위로하고 그들을 2척의 순양함에 태워 터키까지 데려다 주었다. 그 사고는 양국간의 우호의 원점으로 오랫동안 회자되었다. 사고가 났던 가시노자키에도 위령비가 세워졌다. 터키인들은 그 일로 일본인을 깊이 신뢰하게 되었다. “괴로워하는 사람에게 도움의 손길을 뻗고, 진심으로 걱정하는 인간의 마음에는 국경이 없다. ” -이께다 다이사쿠 외교라는 국가 간의 교류도 중요하지만 근본은 이러한 ‘민중의 연대’가 더욱 중요할 것이다. 정치를 하려는 자는(爲政者) 역사를 공부하고 이런 것을 가슴 속에 집어넣어야 하는데, 자꾸 망언만 지속하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지구상 모든 생명체의 0.01%에 불과한 인간이 야생 포유동물의 83%와 식물의 절반을 파괴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간이 지배하고 있는 것 같은 이 지구, 이것에 주목한 일부 과학자들은 현재의 지구를 ‘인류세(Anthropocene)’라는 새로운 지질시대로 명명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이 인류세의 지표 화석으로 꼽는 것은 ‘닭뼈’다. 왜냐하면 인류는 한 해 '600억 마리'라는 어마어마한 닭을 먹어치우는 잡식성 동물이기 때문이다. 이제는 닭이 돼지고기를 제치고 세계 최대 육류로 등극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지난 50년 사이에만도 지구상 동물의 약 절반이 사라진 것으로 과학자들은 추정한다. 그러나 인간이 먹기 위해 유일하게 개체 보전을 지켜준 생명체는 ‘가축’뿐이다. 이에 따라 현재, 닭, 오리 등 가금류는 모든 조류의 70% 정도이며, 돼지와 소 등 가축은 모든 포유류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의 먹거리를 책임져 온 농업, 여기에 인간이 자행한 벌목이나 자연 파괴행위가 인간의 ‘6번째 대멸종’을 부를 것이라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로 지구 환경이 너무나 무참하게 부서져 내리고 있다. 이런 것들이 인류 대멸종을 부르는 촉매가 되고 있다. 야생 포유류가 현재 6분의 1밖에 남아있지 않다는 사실에 과학자들도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은 전한다. 우리가 일회용품과 플라스틱에서 벗어나 혁명적인 생활의 변화와 친환경적인 먹거리로 바꾸어야 할 이유이다. 그것만이 우리의 후손들이 이 초록별에서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일 것이다. 덧붙이는 글 I 자재自在 자재는 자유자재(自由自在)의 자재이다. “환경이 아프면, 내 몸도 아프다”라는 마음으로 30여 년 가까이 일체의 세제와 퐁퐁를 쓰지 않고, 일회용품과 비닐, 비누나 치약 등도 가능한 쓰지 않는다. 물수건이나 휴지 대신 손수건을 쓰고 겨울에는 내복을 입고 실내 온도를 낮춘다. 자가용은 없으며 가까운 곳은 자전거로 먼 곳은 대중교통으로 다니면서, 나의 화석 발자국을 줄이려고 노력한다. 홍익대학교를 비롯한 몇 개의 대학에서 강의를 했으며, 한강 1,300리, 섬진강 530리, 한탄강, 금강, 임진강과 폐사지 등을 걸었으며, 우리나라 해안선만 따라 자전거로 80일 동안 5830km를 순례했다. 다시 세계가 궁금해져 5년 동안 ‘대상(隊商)들의 꿈의 도로’인 실크로드를 따라, 세계오지 배낭순례를 했다. 2000년 전주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으며, 해양 문학상, 전국 문화원 연합회 논문공모 우수상, 시흥 문학상 등 몇 개의 상을 받았다. 2020년 인사동 마루아트센터 아지트갤러리‘국제 칼렌다 사진전’에 참여하였다. 2016년 ‘평화, 환경, 휴머니즘 국제 영상제’에 <초인종 속 딱새의 순산, 그 50일의 기록>이라는 작품으로, '환경부 장관 대상'을 수상했다. 평생 다양한 기관에서 무료봉사를 해오고 있으며, 연극에도 관심이 많아 십여 편의 작품에 출연했다. 또, 노원, 영등포 50+센터 등에서 2년여 전부터 일주일에 한 번씩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내 마음에 안식처 서울역사여행’등을 진행하고 있다.
    • 오피니언
    • 자유기고
    2024-03-11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