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5-22(목)
 
2023-02-06 09;37;38.PNG
▲ 2023 ESG 현안 [제공=대한상공회의소]

 

올해 가장 큰 ESG 현안은 ‘EU발 공급망 실사’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공급망내에 환경문제, 인권침해 여부 등 ESG를 안착시키지 못한 기업은 수출 길이 막힐 수도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최근 국내기 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2023년 ESG 주요 현안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올해 가장 큰 ESG현안을 묻는 질문에 전체의 40.3%가 ‘공급망 ESG 실사 대응’이라고 응답했다. 그밖에 ‘ESG 의무공시’(30.3%), ‘순환경제 구축’(15.7%), ‘탄소국경조정제도’(12.0%)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이재혁 고려대 교수는 “공급망 ESG 실사법이 올해 독일에서부터 시행되고 내년부터 EU 전체로 확대되면서 국내외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협력업체에 ESG 실사를 요구하는 사 례가 늘고 있다”며, “실사 결과 고객사와의 거래나 계약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급망 ESG 실사 대응에 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공급망 실사법에 대한 대응수준은 낮았다. ‘단기적인 대응수준’을 묻는 질문에 원청기업은 48.2%, 협력업체는 47.0%가‘별다른 대응 조치 없다’고 말했다. 장기적인 대응계획으로는 ‘ESG경영 진단/평가/컨설팅’(22.0%), ‘ESG 임직원 교육’(22.0%), ‘ESG경영 위한 체계 구축’(20.7%), ‘국내외 ESG 관련 인증취득’(4.3%), ‘ESG 외부 전문가 영입’(3.7%)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으로도 계획이 없다 37.3%, 복수응답>

 

두 번째 현안으로 꼽힌 ‘ESG 의무공시’와 관련해서도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시작되 는 공시 의무화에 별다른 대응계획이 없다는 기업이 36.7%에 이르렀다.<‘향후 지속가능경영보 고서 작성 예정’36.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 및 공개’15.3%,‘일부 정보 공개’11.7%> 

 

글로벌 ESG 공시 기 준인 ISSB 기준의 국내 도입 방식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71.7%는‘국내 실정에 맞 춰 일부 수정 및 점진적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면적 도입해야 한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5.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올해 ESG 각 분야별 현안을 살펴보면, 먼저 환경(E) 분야는 ‘친환경기술개발’(34.0%)이 첫 손에 꼽혔다. 이어 사회(S) 분야 현안으로는 ‘산업안전보건’(52.3%)을 선택한 기업들이 가장 많았고, 마지막 지배구조(G) 분야 현안으로는 ‘이사회 및 감사기구 역할 강화’(30.3%)를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기업 62% 경제 어려워도, ‘ESG 경영’ 더 중요해진다’ 

 

기업 61.6%는 ‘올해 경제 상황이 어려워도 ESG 경영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 보고 있었다. 덜 중요해질 것이란 응답은 2.4%에 불과했다. 이같이 생각 하는 이유로는 ‘국내외 고객사 요구 확대’(53.0%)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ESG 규제 도 입(35.1%), 연기금 등 투자자 요구 확대(7.0%), 소비자의 요구 확대(4.9%) 순이었다. 

 

 ESG경영 추진 관련 기업애로를 묻는 질문에는 기업의 58.3%가 ‘비용부담’을, 53.0% 가 ‘내부 전문인력 부족’을 선택했다. ‘경영진 관심 부족’(16.3%), ‘현업부서의 관 심 및 협조 부족’(11.0%), ‘실천 인센티브 부족’(9.0%) 등이 뒤를 이었다.<복수응답> 

 

정책과제로는 ‘업종별 ESG 가이드라인 제공’(39.3%)을 꼽은 기업들이 가장 많았다. 이어 ‘ESG 진단/실사/컨설팅 지원’(28.0%), ‘감세/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24.0%), ‘ESG 전 문인력 양성’(20.7%), ‘ESG 금융지원’(20.7%), ‘ESG 인증 서비스 제공’(5.7%), ‘기 타’(0.3%) 순이었다.<복수응답>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기업들은 ESG를 단순히 비용으로만 바라보지 말고 경기부진을 극복하고 기업의 성장과 도약을 가져올 핵심 경쟁력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자금 및 인력 부족으로 ESG 실천이 쉽지 않은 기업들을 위해 금융/세 제지원, 업종별 ESG 가이드라인 제공 등 적극적인 지원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공급망 ESG 지원센터를 통해 중소기업 ESG 진단과 실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8949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2023년 ESG 현안, 공급망 ESG 실사 대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