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5-22(목)
 
issb.jpg
▲ ISSB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 국제 지속 가능성 기준 위원회 [그래픽=ESG코리아뉴스]

 

ES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제 지속 가능성 기준 위원회(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ISSB의 설립은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재단 이사회가 2021년 11월 3일 글래스고에서 열린 COP26에서 강력한 시장 수요에 따라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의 설립을 발표했다. 


ISSB는 ESG의 중요성에 따라 공익을 목적으로 투자자와 금융 시장의 요구에 초점을 맞춰 고품질의 포괄적인 글로벌 지속 가능성 공개 기준 표준안을 개발하고 있다.


과거 기업의 존재와 투자 목적이 이윤추구였다면, ESG가 일상화된 현실에서 기업의 생존과 투자는 이윤을 넘어선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바뀌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경영을 통한 이익뿐 아니라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개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사회적 책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제 기업의 지속 가능성 요소는 투자 의사 결정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으며, 기업은 투자자에게 고품질의 정보를 제공해야만 한다. 


또한 기업과 투자자 모두는 지속 가능한 지구 환경뿐 아니라 기업의 생존을 위해 자발적으로 지속 가능성 관련 표준 내용을 공시하고 평가를 받아야 한다.


ISSB는 G7, G20,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 금융안정위원회, 아프리카 재무장관, 재무장관, 중앙은행 총재 등의 지원하에 지속 가능성 공시 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국제적 지원을 받고 있다.


ISSB의 네 가지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 가능성 공개를 위한 글로벌 기준 표준안을 개발한다.

 

둘째, 투자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킨다.

 

셋째, 기업이 글로벌 자본 시장에 포괄적 지속 가능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관할권과 광범위한 이해 관계자 그룹을 대상으로 상호 운용성을 촉진한다.


ISSB는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지표(Stakeholder Capitalism Metrics)뿐만 아니라 기후정보공개표준위원회(CDSB), 기후정보공개위원회(TCFD), 가치보고재단(Value Reporting Foundation)의 통합 보고 프레임워크(Integrated Reporting Framework), 산업 기반 SASB 표준(SASB Standards) 등 시장 주도의 투자자 중심 보고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한다.


ISSB는 효율적인 의사 결정에 유용하며 시장에 입각한 표준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ISSB의 표준은 효율성을 염두에 두고 기업이 전 세계 시장의 투자자에게 필요한 것을 보고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표준은 투자자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자본 유치를 위한 국제적 비교 가능성을 촉진하기 위해 올바른 방식으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기업은 ISSB의 표준을 적용하면 이중 보고를 피할 수 있다. 각기 다른 관할권 요건이 글로벌 기준선을 기반으로 구축되면, 기업은 관할권 요건을 충족하는 동시에 글로벌 기준의 효율성과 비교 가능성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전 세계 통용 지속 가능 보고기준을 만들고 있는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는 지속 가능성 및 기후 관련 보고를 위한 글로벌 표준 최종안을 확정했다. 이 표준안은 올해 6월 안에 공식 발표된다. 공시 기준은 2024년 1월 1일부터 적용돼 2025년 최초 공시가 이뤄질 예정이다.

BEST 뉴스

전체댓글 0

  • 2337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와 역할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