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경북 동해안,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포항 호미곶 등 7개 명소 포함

  • 유서희 기자
  • 입력 2025.04.14 08:4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한반도 자연유산의 국제적 위상 높아져… 생태관광·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20250413115508-27439.jpg

▲ 포항의 지질명소 구룡소 [사진=경북도]


‘경북 동해안 세계지질공원’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공식 지정됐다. 지난 10일(현지 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이 같은 결정이 내려졌으며, 공식 지정 통보는 4월 17일 이뤄질 예정이다.


‘경북 동해안 세계지질공원’은 포항, 경주, 영덕, 울진 등 4개 시·군을 포함한 총면적 2,693.69㎢ 규모로, 포항 호미곶 해안단구, 여남동 화석산지, 구룡소 돌개구멍 등 7개 지질 명소가 포함됐다. 여남동과 호미곶에는 지질공원 안내센터가 운영 중이며, 해설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이번 지정은 지질학적 가치뿐 아니라 생태, 역사, 문화 자원과의 연계성, 지역사회의 참여도, 지속가능한 관리 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다. 2023년 6월 유네스코에 의향서를 제출한 이후, 지난해 7월 현장 실사, 9월 이사회 심의 과정을 거쳐 최종 결정됐다.


경북 동해안 지역은 한반도 최대 신생대 화석산지로 평가되며, 동아시아 지체구조와 마그마 활동의 흔적, 해안단구와 주상절리 등 다양한 지질 경관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포항 여남동 화석산지는 약 2,200만 년 전의 신생대 생물 화석이 확인된 곳이며, 호미곶 해안단구는 동해 해수면 변동과 지각 운동의 흔적을 담고 있는 지형으로 주목받는다.


이번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으로 경북 동해안 지역은 지질 명소에 유네스코 공식 로고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지역 특산품과 관광 자원에 대한 국제적 홍보가 가능해진다. 또한 국비 확보가 용이해져 해설사 운영, 보전관리 사업 등의 재정적 지원이 기대된다.


경상북도 관계자는 “이번 지정은 지역의 자연유산을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은 사례로, 생태관광 기반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체계적인 보전과 운영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 ESG코리아뉴스 & esgkorea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AI와 ESG 융합 교육의 장, ‘한국ESG경영 최고위과정 제4기’ 신입생 모집
  • 이재명 정부, 국민과의 직접 소통으로 민생과 통합 이끌겠다
  • 아디다스, 서울 한남동에 팝업 스토어 ‘아디다스 한남’ 오픈
  • 현대차, 고성능 전기 세단 '아이오닉 6 N' 공개…굿우드서 세계 최초 선보여
  • 국가무형유산 공동체종목 대국민 영상 공모전 개최
  • 과기정통부, ‘2025년 블록체인 협의체 ABLE 1차 정례회의’ 개최… 디지털 경제 미래 논의
  • 고객 안전을 위한 무타협 원칙...현대차그룹 거버넌스의 핵심
  • 아이코리아, 지속가능발전교육 '유아교육 현장사례 공모전' 개최
  • ’ BNK금융그룹,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발간… ESG 리더십 강화 선언
  • “반려견과 함께 더 행복한 일상”…경기도, 입양 반려견 행동교정 지원 사업 연장 실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제주시, 여름철 클린하우스 쓰레기 배출 점검 강화… 불법 투기 강력 대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