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5-25(일)
 
산림소득 국고보조사업 교육.jpg
⯅ 산림소득 국고보조사업 교육 [사진=전라남도]

 

전라남도는 21일 동부청사 이순신강당에서 임산물 생산액 1조 원 시대를 여는 첫걸음을 내딛기 위해 산림소득(국고보조사업) 교육을 진행하고, 임업인 및 생산자단체와 함께 산림소득사업 지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남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 임업 종사자는 약 3만 명에 달하며, 이중 전문 임업인인 임업후계자·독림가·신지식인 등은 4,798명에 이른다. 특히 지난해 전남은 고사리, 조경수, 잔디, 야생화, 건표고 등 10개 품목에서 생산량이 전국 1위를 차지하며, 전체 임산물 생산액은 9,776억 원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교육에서는 임업인과 생산자단체 200여 명을 대상으로 2025년 달라지는 지원 정책, 정부 공모사업 참여 방법, 안정적인 유통망 구축을 위한 남도장터 입점 방법 등이 안내됐다. 특히, 최근 기후변화와 이상 기온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임업인들을 돕기 위한 방안도 논의됐다. 이를 위해 겨울철 이상 기온으로 괴사가 발생한 노지 표고버섯에 대한 농작물재해보험 신규 품목 지정과 여름철 일소 피해, 폭우 등으로 생산량 감소가 우려되는 대봉감에 대한 농작물재해보험 약관 개정을 농업정책보험금융원에 건의하고 있다.


전라남도는 2025년 임업인 소득 증대를 위해 임산물 생산기반, 유통기반, 임업직불금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통해 약 3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임산물의 안정적인 유통망을 구축하고, 기후변화 등의 외부 요인으로부터 임업인의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칠 예정이다.


문미란 전라남도 산림휴양과장은 "안정적인 임산물 판로 확보와 기후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임산물의 재해보상 신규 품목 지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특히 신규로 진입하는 청년 임업인을 위한 컨설팅과 지원 정책을 강화하여 소통과 협력으로 임산물 생산액 1조 원 시대를 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전라남도는 임업인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계절별로 생산되는 다양한 임산물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지난해부터 전문 임업인을 대상으로 3년 이상 재배하고 생산 실적과 숙련도를 평가한 후, 매달 이달의 임업인을 선정하여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전남도는 이러한 노력들이 지역 경제에 큰 기여를 할 뿐만 아니라, 임산물 생산의 중요성과 가치를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임산물은 기후 변화 대응과 지속 가능한 산림 자원 활용을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앞으로도 더욱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전체댓글 0

  • 6535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남도, 임산물 생산액 1조 원 시대 열기 위한 교육 및 지원 강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